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개인의 동기요인을 매개로 자기제시 성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otivations on Self-presentation

  • 황유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 김민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 김주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발행 : 2009.11.15

초록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자율성, 관계성, 그리고 생활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제시 성향에 미차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각 변인들 간의 관계가 남녀 집단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전체집단에 대한 가설모형의 적합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잠재평균분석 결과 관계성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제시 성향의 인과구조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남녀 비교를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 집단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을수록 자기제시 성향이 높았다. 남성 집단에서는 자율성과 생활만족도가 자기제시 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관계성이 자기제시 성향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자기제시 성향은 단순한 인과적 관계를 가질 뿐 아니라, 남성의 경우에는 개인의 내재적 동기에 의해서 상호작용 방식이 달라진다는 잠을 알 수 있다. 한편, 잠재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관계성이 자기제시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제외하고는 남녀 집단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presentation through motivational perspectives.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onomy, relatedness, and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self-presentation. We investigated how these effects were influenced by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males and females. The data with the sample of 361 college students adequately fit to the hypothesized model.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gender differences of the constructs were examined. The female student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relatedness than the mal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utonomy and relatedness are important factors to self-presentation mediating communication compete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