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ultural Politics of Online Parody: Its Aesthetical Possibilities and Limits

온라인 정치 패러디물의 미학적 가능성과 한계

  • Lee, Kwang-Suk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 이광석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Published : 2009.11.15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litical parody, which has become an active art form in order to express Korean Internet users' political practices, especially, during the politically turbulent periods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2003 to the recent candlelight vigil protest of 200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e and fall of a parody culture by online users from the mid-2000s, and also examines aesthetical aspects of parodic artworks relying on amateurism culminated in 2004.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questions an aesthetical lack shown in 'appropriation', by which most of the online users simply produce imitations of original image. This study rather notes 'photomontage' as an aesthetic prototype, the political aesthetics made by John Heartfield, through which this study intends to observe how his aesthetical legacy of political art could be realized in the contemporary form of political parodies produced by online users. The present paper concludes that online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s in producing critical works of art could allow us to negate the dichotomy between the elite and the mass, professional artists and amateur parodists, and a radical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style.

이 논문은 인터넷 누리꾼들이 중요한 표현 매체형식으로 이용했던 패러디의 정치 미학적 가능성과 한계를 관찰한다. 특히, 2003년의 대선 정국, 2004년의 총선, 노무현 전대통령의 탄핵 정국, 만두파동, 그리고 서울시장의 '서울시 봉헌' 발언 등에 반응해 대중이 생산해냈던 정치 패러디물들을 중심에 놓고 본다. 당시 시사정치 패러디물에 힘입어 여론이 헝성되거나, 그 중 일부는 언론의 주목을 크게 받았던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 글은 먼저 한국사회에서 이렇듯 영향력을 행사했던 패러디물이 급격하게 대중화하다 왜 갑자기 쇠퇴했는지를 최근 몇 년의 패러디 발전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누리꾼들의 정치 패러디물들을 중심에 놓고 그들이 지닌 정치 미학적 특성과 함의를 살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누리꾼들의 대중적 창작 행위 증가, 디지털 기술에 의한 매체 표현의 다면성, 그리고 아마추어 작가들의 등장에서 정치 패러디의 긍정적 의의를 찾는다. 하지만, 이들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마추어 패러디 작품들의 영향력이 대단히 단발적이고 휘발성을 지녔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한다. 단순히 영화포스터 등 오락미디어 문화의 상징적 이미지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패스티쉬(혼성모방)의 정치 미학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것이 결국 정치적 앙가주망의 도구로써 패러디의 창조적 역할을 약화시켰던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