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별교육프로그램이 역할불이행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관련 지식,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in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 이수진 (서울아산병원 CRRT) ;
  • 박향숙 (서울아산병원 CRRT) ;
  • 한진희 (서울아산병원 투석실) ;
  • 김해진 (서울아산병원 투석실) ;
  • 서민원 (서울아산병원 투석실) ;
  • 최은아 (서울아산병원 투석실) ;
  • 임은영 (서울아산병원 투석실) ;
  • 최미란 (서울아산병원 간호교육행정팀) ;
  • 최선숙 (서울아산병원 간호 3팀) ;
  • 박광옥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간호부) ;
  • 김경옥 (서울아산병원 간호본부)
  • 투고 : 2009.09.30
  • 심사 : 2009.10.23
  • 발행 : 2009.12.31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us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serum potassium, phosphorus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of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ere were 22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Nurses with rapport with patients provided education to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for 2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is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individual consulting, telephones conversations regarding hemodialysis, and requests for patient support from patients' families and colleagues. Results: Hypothesis 1;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Hypothesis 2; "Compliance will b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Hypothesis 3; "Physiologic parameters of experimental group will improve" were supported as serum potassium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decreased, but results were not consistent for phosphorous. Conclusion: This program for non-compliant patients increased compliance and improved physiologic parameters. Therefore, thi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effective as a nursing interv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건효(1999). 혈액투석환자의 자존감, 사회적지지,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 김경희(1996).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애영(2006).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 자가 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4. 김옥수(1993).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주현(1995).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6.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2007).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지, 26(2), 459-481.
  7. 류향진, 전현주, 한금현, 한상엽(2009). 교육방법 개선을 통한 혈액투석환자의 역할이행 향상. 제29차 대한신장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28(2), S427.
  8. 민중서림 편집부(2006). 엣센스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9. 박오장(1990). 가정방문을 통한 개별교육이 당뇨병환자 역할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효과의 지속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2), 174-184.
  10. 박은희(1992). 정보제공이 신증후군 환아 어머니의 지식, 사기,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1. 배정은(2004).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환자교육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소향숙, 김애영, 김은아, 김수미(2006).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약물교육프로그램이 약물에 대한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6(7), 1135-1144.
  13. 송미령(1999).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를 위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송은숙(2002).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 관련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5. 윤영아(2007).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지지체계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상담학적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이현정(2004). 보건소 진료실을 이용한 개별보건교육이 고혈압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1), 80-89.
  17. 장미영(1996).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강인성과 이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조미경(2008).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한 건강계약중재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와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 허정(2005). 혈액투석 치료 불이행 환자의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홍계영(1999).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관련지식,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1. Baldree, K. S., Murphy, S. P., & Powers, M. J. (1982). Stress identification and coping pattern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Nursing Research, 31(2), 107-112.
  22. Barnett, T., Yoong, T. L., Pinikahana, J., & Si-Yen, T. (2008). Fluid compliance among patients having haemodialysis: Can an educational programme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3), 300-30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28.x
  23. Christensen, A. J., Moran, P. J., Wiebe, J. S., Ehlers, S. L., & Lawton, W. J. (2002). Effect of a behavioral self-regulation intervention on patient adherence in hemodialysis. Health Psychology, 21(4), 393-397. https://doi.org/10.1037/0278-6133.21.4.393
  24. Connelly, C. E. (1987). Self-care and chronically ill patient.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2(3), 621-629.
  25. Kugler, C., Vlaminck, H., Haverich, A., & Maes, B. (2005). Nonadherence with diet and fluid restrictions among adults having hemodialysi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1), 25-29.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5.00009.x
  26. Kutner, N. G. (2001). Improving compliance in dialysis patients: Does anything work? Seminars in Dialysis, 14(5), 324-327. https://doi.org/10.1046/j.1525-139X.2001.00080.x
  27. Leggat, J. E. Jr., Orzol, S. M., Hulbert-Shearon, T. E., Golper, T. A., Jones, C. A., & Held, P. J., et al. (1998). Noncompliance in hemodialysis: Predictors and survival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32(1), 139-145. https://doi.org/10.1053/ajkd.1998.v32.pm9669435
  28. Loghman-Adham, M. (2003). Medication noncompli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ssues in dialysis and renal transplant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9(2), 155-171.
  29. Saran, R., Bragg-Gresham, J. L., Rayner, H. C., Goodkin, D. A., Keen, M. L., & Van Dijk, P. C., et al. (2003). Nonadherence in hemodialysis: Association with mortality, hospitalization, and practice patterns in the DOPPS. Kidney International, 64(1), 254-262. https://doi.org/10.1046/j.1523-1755.2003.00064.x
  30. Welch, J. L., Perkins, S. M., Evans, J. D., & Bajpai, S. (2003). Differences in perceptions by stage of fluid adherence. Journal of Renal Nutrition, 13(4), 275-281. https://doi.org/10.1016/S1051-2276(03)00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