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havior of Flexible Pipes with the Accelerated Flowable Backfill Materials Using Surplus Soil for Underground Power Utilities

굴착잔토를 재활용한 지중 전력케이블 유동성 뒷채움재 이용시 지중연성관의 거동특성

  • Received : 2009.06.11
  • Accepted : 2009.10.14
  • Published : 2009.12.01

Abstract

In the case of underground power utilities pipe such as circular pipe, the most difficult problem is low compaction efficiency of the bottom of pipe inducing the failure of utilities.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nd one of these is 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accelerated flow ability. CLSM has already been stage of commercial use in the foreign countries led by power company.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behavior of flexible pipe with flowable backfill materials and sand to compare on the DB24 loa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formation of flexible pipe is affected by types of backfill materials. CLSM shows better behavior characteristics than compacting sand. But numerical and analytical results that peformed to compare to the field test results showed big gap with the field results.

지중전력선과 같은 원형 지하매설관의 경우 관의 하단부 다짐효율이 낮아 파손등과 같은 구조적 문제점에 항상 노출되어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그중 하나가 유동성이 뛰어난 저강도 콘크리트의 개발이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전력회사를 중심으로 이미 실용화 단계에 와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지중 전력케이블 유동성 뒷채움재의 거동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개발된 유동화 뒷채움재와 일반모래를 이용하여 DB-24차량하중에 대해서 매설관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증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치해석 및 이론식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설관의 변형은 뒷채움재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 뒷채움재가 모래다짐 보다 관로에 미치는 토압 및 변형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실증실험 결과와 비교검토를 위해서 수행한 수치해석 및 이론식 값들이 실증실험값과 차이가나 향후 유동성 뒷채움재에 맞는 해석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굴착 잔토를 재활용한 급결성 콘크리트 개발

References

  1. 박재헌, 이관호, 조재윤, 김석남 (2004), 현장발생토 CLSM을 이용한 지하매설관의 변형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20, No. 3, pp. 129-139.
  2. 이관호, 박재헌 (2006), 파형강관을 이용한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 설계 및 시공성 평가,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Vol. 8, No. 2, pp. 63-74.
  3. 이대수, 상현규, 김경열 (2002), 차량하중을 받는 지중연성관의 거동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8, No. 4. pp. 65-73.
  4. 이이환 외 13명 (1986), 지중관자재 적정규격 제정을 위한 기술용역,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KOPEC/86P-001, pp. 111-174.
  5. 조성수 (1999), 지중배전 설계편람, TM.96EJ30.I1999.102,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pp. 142-154.
  6. 조재윤, 이관호, 이인모 (2000), 유동특성을 이용한 폐주물사 혼합물의 옹벽뒷채움재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6, No. 4, pp. 17-30.
  7. 천선호, 정상섬, 이대수, 김대홍 (2006), 굴착 잔토를 재활용한 지중전력구조물 뒷채움재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공학회 논문집, Vol. 26, No. 5, pp. 303-312.
  8.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6), 지중전력구조물 뒷채움용 급결콘크리트 개발, 산자부과제 최종보고서, pp. 28-71.
  9. Jakardhanam, R., Burns, F. and Peindl, R. D. (1992), Mix Design for Flowable Fly-ash Backfill Material,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4, No. 3, pp. 252-262. https://doi.org/10.1061/(ASCE)0899-1561(1992)4:3(252)
  10. Moser, A.P. (2001), Buried Pipe Design 2n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pp. 9-29.
  11. Tarun, R. K., Shiw, S. S. and Bruce, W. R. (2001), Performance and Leaching Assessment of Flowable Slurry,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7, No. 4, pp 359-368.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2001)127:4(359)
  12. Wayne, S.A. (1994),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CLSM), ACI 229R-94, pp.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