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치과위생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도 연구

  • Received : 2009.07.27
  • Accepted : 2009.09.09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research targeted 253 dental hygienists who are working in parts of the South Gyeongnam Province to identify their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xecuted on July 1,2008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Experience in managing elderly patients' oral cavity and specialized education on the elderly patients while studying dental hygiene (department) manifest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appropriate age of the Long-term care worker(p<0.01, p<0.05). Moreo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and on whether they got specialized education on the elderly patients while working(p<0.01).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llowing interest in the health of the elderly patients' oral cavity(p<0.05, p<0.01, p<0.001).

본 연구는 일부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53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일에 시행 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제고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하는 목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41.9%였으며, 치과위생사가 장기요양요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31.6%로 낮았다. 또한 향후 장기요양요원으로 참여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는 43.1%이였으며, 방문간호센터에서 근무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도 43.1%로 나타났다. 장기요양 요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의사를 보인 응답자는 76.7%이였으며,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적정한 연령용 40~50대가 가장 적당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48.6% 가장 많았다. 2. 노인환자 구강관리 경험여부에서는 자주하는 경우는 51.8%로 조사되었으며 노인환자에 대한 친밀도에서는 편안하다라고 느끼는 경우는 31.6%로 나타났다.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경우는 33.6%이었으며 재학시절 노인과 관련 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8%, 재직 중에 노인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경우는 90.9%,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관심도에서는 68.6%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환자의 구강관리에 대한 경험여부와 치위생(학)과 재학 시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은 장기요양요원의 적정연령의사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p<0.01, p<0.05). 또한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경험여부와 재직 중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여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이해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4. 노인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장기요양요원 활동정보에 대한 이해,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근무의사여부, 방문간호센터 근무의사여부, 장기요양요원 별도교육 필요여부, 장기요양요원 적정연령의사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p<0.01, p<0.001).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nso.go.kr.
  2. http://www.longtermcare.or.kr.
  3. http://www.nw.or.kr: Law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4. Park SY: A study on health center employees' awareness of senior citizens in a super-aged socie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Forensic Medicine, Master's Thesis, pp.32-43, 2006.
  5. Lee WP: A study on long-term care insurance. Sungkongho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ivil Society & Welfare, Master's Thesis, pp.47-61, 2005.
  6. Ahn KS, Ji MG, Min HH: A study on dental professionals' recognition on a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9(1): 169-178, 2009.
  7. Ward CR, Duquin ME, Streetman H: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massage on future caregivers: Attitude toward aging, the elderly and caring for the elderly, EG 25(3): 35-46, 1991.
  8. Lee HW: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cial worker's knowledge about facts on ag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between Korea and Japan. J Korean Acad Social Welfare 17: 315-320, 2001.
  9. Kim JY: Nurses'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elderl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Nursing, Master's Thesis, pp.56-61, 2004.
  10. Choi SS: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Gyeong-Ju. J Dent Hyg Sci 7(2): 59-64, 2007.
  11. Jo SH: Attitudes of nurse toward the elderly. Theses Collection at the Sunchon Chongam College, pp.59-78, 1992.
  12. Ji MG: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dental personnels. J Korean Aead Dental Hygiene Education 8(2): 77-90, 2008.
  13. Haught PA, Wall RT, Laney JD, Leavell A, Stuzen S: Child and adilscent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lder adults across time and states, Educational Gerontology 25(6): 501-517, 1999.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