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반응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Reactions to Noise When Occurred in Dental Clinic

  • 최미숙 (초당대학교 치위생학과) ;
  • 지동하 (대전보건대학 환경보건학과)
  • Choi, Mi-Suk (Dept. of Dental Hygiene, Cho Dang University) ;
  • Ji, Dong-Ha (Dept. of Environmental Health,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 투고 : 2009.08.31
  • 심사 : 2009.10.20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진료시(스케일링, 치아절삭) 및 비진료시(기기만 가동) 가동되는 치료기기의 소음이 치과위생사들에게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 평가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치과위생사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병원 기기의 진료 시 및 비진료 시의 주파수 특성의 경우 고주파로 갈수록 소음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생소음도의 대부분이 고주파 성분(4 KHz이상)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으며 발생하는 소음레벨 dB(A)의 범위는 67.7~78.3 dB(A)로 치과위생사의 소음피해가 예상되는 수준으로 소음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2.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7.8%가 "왠지 불안하게 된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치과위생사 경력이 5년 이하이고 30세 이하인 경우에는 "왠지 불안하게 된다", 경력이 5년 이상이고 31세 이상인 경우에는 "아무렇지도 않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p<0.01). 이는 발생소음레벨이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력손실의 발생 시작" 수준으로 경력과 연령이 많을수록 그만 큼 소음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결과로 판단된다. 3.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스케일링 치료를 할 경우 NR-78, 치아 삭제 시 NR-77, 기기만 가동 되는 경우 NR-67로 나타나 작업장의 소음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스케일링 치료시 소음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4 kHz이상의 고주파대역을 제어할 수 있는 방음대책을 수립하여 치과 위생사에게 미치는 소음에 대한 영향을 줄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소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제반 문제와 병원환경만족 등의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기분이 거슬리게 되면 환자에게 진료결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의 상관계수가 0.677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p<0.01), 치과위생사의 "병원환경만족도"와 "환자들로부터 기기소음에 대한 불평을 듣는" 항목에서 -0.595, "기기발생 소음으로 피곤을 느낀다" 항목에서 -0.343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상관관계(p<0.01)를 보이고 있었다. 5. 소음에 노출되어 기분 거슬림이나 피곤을 느끼게 되면 진료결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게 되고 병원이 소란할수록 병원환경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치과병원의 기기소음에 대한 적절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치과종사자의 쾌적한 근무여건을 제공, 치과병원의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치과 병원 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치과위생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소음특성을 측정 및 설문 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기기발생 소음특성이 치과위생사에게 기분이 거슬리거나 피로를 느끼게 하는 수준이며 이로 인하여 환자들에게 진료결과를 충분히 설명하려는데 지장을 받고 있으며 병원이 시끄럽다고 느낄수록 병원환경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적절한 방음대책(방음보호구 제공,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마스킹 효과 등)을 수립하여 쾌적한 근무여건을 제공하므로써 치과위생사들의 병원환경 만족도를 향상시켜 치과의료 서비스의 질 및 경쟁력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of between characteristics of noise and annoyance of dental hygienist by noise in dental clinic. To investigate the dental clinic workers' reactions to noise when occurred in dental clinic, the noise level test in dental clinic and questionnaire were taken. As a result of noise evaluation, It shows that the range of noise level was 67.7~78.3dB(A) and frequency was very high (more than 4KHz). It's seem to be begins occurrence of stamina-loss, contraction of peripheral blood vessel, decrease of adrenocortical hormones. Most of respondents were affected by noise: 67% of respondents were nervous about noise and the rest of respondents were bearable. Analysis by NR-curve showed that it was exceed the noise permit level in working space. As a result of correlation - test, the more exposed dental hygienist to noise, the more felt the unpleasantness and fatigue. It's hard to sufficient explanation to patients about the dental treatment. So it's thoughts that insufficient explanation will negative impact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and increase competitiveness in dental clinics. To remedy a unpleasantness and fatigue of noise in dental hygienist, it's considered that making an offer the ear protection and choosing the low noise-vib. equipment and using the masking effect. Therefore, It can be provide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with dental hygienist and It will have a great advantage to dental clinics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Kim JM: The health effects of industrial noise. Korean Society of Environ. Eng. 29(2): 131-137, 2007.
  2. Hong HS et al.: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dental hygienist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revisit and recommend of dental care services. J Korean Acad Dent Health 30(2): 130-140, 2006.
  3. Kim DS, Jeon HJ, Jang SI: The subjective response for impulsive sound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noise-. KSNVE 18(7): 746-755, 2008.
  4. Park KO, Lee MS :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exposure level in worksite and workers' stress symptoms. KSPM 29(2): 239-254, 1996.
  5. Jeong IL et al.: New noise and vibration. 1st(ed), Shinkwang. Seoul, pp. 40-44, 2002.
  6. Kim JS: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 by factors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 J Korean Mad Dent Hygiene Education 6(1): 25-35, 2006.
  7. Jegal KS et al.: Analysis and survey of dental treatment satisfaction among dental patien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Acad Dent Health 23(2): 49-58. 1999.
  8. Cho YS, Kwon HK, Chung WG : Dimensions and measures in patient satisfaction with dental care. J Korean Acad Dent Health 29(4): 407-41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