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Visual Image of Villain Characters - Focusing on Korean Films Since 2000 -

영화에 나타난 악인 캐릭터의 시각적 이미지 분석 - 2000년대 이후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Hye-Joo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 Jeon, In-Mi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villains in recent films are given interesting roles not only through the actual contents of the story but also by attrac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er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deeper look into the image styling process of villain characters. The cases will focus on seven representative Korean films that have attracted over one million audiences as of the year 2000, and the leading and supporting actors within those films. Analysis will be made mainly on the visual image creations of those villains. The visual images are categorized by the make-up, hair-do, clothing and accessories relevant to the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 of each actor's role and their background based on the given scenario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llain characters are portrayed as an individual with multiple personalities with regards to psychological, economical, and vocational aspects. Second, fashion trends of the character is an important element to keep pace with the times or to visualize the sense of the times in which the villain exists. Third, a specific point that characterizes the villain's character are expressed through various touches using noticeable accessories, specific colors in make up, hair style, and a certain fashion.

Keywords

References

  1. 이혜주, 김미현 (2007). 생활과학논집, 25,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p. 65.
  2. 김성훈 (2006). MBTI로 본 영화 속 인물성격 분석연구. 영화연구, 28, p. 133.
  3. 류지원 외 2인 (2000). 뷰티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p. 76.
  4. 김수봉 (1993). 古小說의 반동인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5. 전인미, 이혜주 (2007). 무대공연에 있어 성격유형별 분장디자인 모형구축에 관한연구. 服飾, 57(8), 한국복식학회, p. 107.
  6. 정하영 (1985). 월매의 성격과 기능, 고전소설 연구와 방향 서울: 새문사, p. 332.
  7. 李哉旼 (1993). 古小說에 나타난 補助人物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봉 (1993). 古小說의 반동인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신성문 (2000). 윤리 소설의 악인형 인물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문영 (2002). 영화여주인공의 의복이미지에 나타난 전문직업여성의 복장유형의 변화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p. 158.
  11. 이자경 (2003). 1954년과 1995년의 영화 사브리나에서 나타난 토탈코디네이션의 의상과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에 관한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12. 서정남 (1997). 영화의 작중인물 성격에 관한 논고. 영화연구, 13, p. 220.
  13. 위의 책, p. 218.
  14. 李哉旼. 古小說에 나타난 補助人物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5. 서정남. 앞의 책, p. 225.
  16. 서정남. 앞의 책, p. 228.
  17. 레이조스 에그리, 김선 역 (1991). 희곡작법. 서울: 청하, p. 177.
  18. 李哉旼. 古小說에 나타난 補助人物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9. Joseph M. Boggs, 이용관 역 (1992).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서울: 제3문학사, pp. 41-69.
  20. 한양대 연극영화과 편 (2000). 영화예술의 이해. 서울: 한양대 출판부, p. 14.
  21. 이경손, 김희섭 (1998). 의생활과 패션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p. 166.
  22. 쟈크오몽, 김호영 역 (2006). 영화 속의 얼굴. 서울: 마음산책, p. 1.
  23. 이자경. 앞의 책, p. 7.
  24. 서정남. 앞의 책, p. 238.
  25. L. 쟈네티, 김진해 역 (1999). 영화의 이해. 서울: 현암사, p. 296.
  26. 자크오몽. 앞의 책, p. 34.
  27. 강혜원 (1984).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p. 49.
  28. L. 쟈네티, 김진해 역. 앞의 책, p. 341.
  29. 이화영 (2002). 영화의상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
  30. 이화영. 위의 책, p. 29.
  31. 박은순, 이재정 (2002). 영화의상 스타일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3(2), p. 103.
  32. 이자경. 앞의 책, p. 8.
  33. 이화영. 앞의 책, p. 31.
  34. 이정원 (2007). 해학적 악인 캐릭터 디자인을 위한 서사적 접근. 고소설 연구, 23, p. 171.
  35. 李符永 (1995).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분석심리학적 접근. 서울: 집문당, p. 133.
  36. 李哉旼. 앞의 책, p. 1.
  37. 신성문 앞의 책, p. 3.
  38. 김수봉. 앞의 책, p. 5.
  39. 신웅재 (2004). 셰익스피어의 비극에 나타난 악인상 연구 Shakespeare review, 40(1), p. 68.
  40. 문학숙 (1991). 도덕의 가변을 쓴 악인들. 인문연구, 21, p. 84.
  41. 위의 책, p. 84.
  42. 신웅재. 앞의 책, p. 71.
  43. 문용식 (1996). 家門小說의 인물연구. 태학사, p.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