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lime Generated by Application of Deep Mixing Method

심층혼합공법 적용시 발생하는 슬라임의 공학적 특성

  • 전상현 (세경대학 토목과) ;
  • 박병수 (강원도립대학 건설토목과) ;
  • 이해승 (강원도립대학 소방환경방재과) ;
  • 유남재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문만식 (대우건설 토목사업본부)
  • Received : 2009.07.16
  • Accepted : 2009.08.25
  • Published : 2009.10.01

Abstract

This research 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lime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of deep mixing metho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lime have been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laboratory tests of unconfined compression test, permeability test and settling tests were performed. As result of field observation of slime being generated, slime started to be produced right after flight auger was penetrated into a ground and its amount was increased in progres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with slime obtained from in field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929.7{\sim}3,509.8kN/m^2$ and the value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was found to be changed significantly with mixing ratio of soil, cement and binder. Permeability of them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4.53{\times}10^{-7}{\sim}6.62{\times}10^{-6}cm/sec$ so that the mixture was appropriate as a impervious barrier. It was also know that the value of permeability was changed with the mixing ratio of binder. As test results of solidifying slime specimen prepared in the laboratory, good quality of cement mixture with coarse soil of sand were produced, compared with fine soils of silt and clay.

본 연구는 심층혼합공법 시공시 발생되는 슬라임의 공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내용이다. 슬라임의 공학적 특성은 문헌 고찰과 일축압축 시험, 투수시험, 슬라임 분리침강시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슬라임 발생에 대한 현장 조사 결과 교반 날개가 지반에 관입된 후 슬라임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그 양은 관입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장에서 채취한 슬라임 시편의 일축압축강도 시험 결과 $929.7{\sim}3,509.8kN/m^2$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일축압축강도는 흙, 시멘트, 주입재의 혼합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투수시험 수행 결과 혼합재가 불투수 막으로 작용하여 $4.53{\times}10^{-7}{\sim}6.62{\times}10^{-6}cm/sec$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에 투수계수 또한 주입재의 혼합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에서 제작한 슬라임 시료를 고화한 결과 실트와 점토를 혼합한 것과 비교할 때 사질토가 밀실한 개량체가 형성되어 양질의 혼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덕현, 공길용, 오창목, 유찬 (1995), 고화제를 이용한 천층 및 심층혼합처리공법의 현지 적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5권 4호, pp. 1003-1013.
  2. 박재담 (2007), 흙-시멘트 혼합토의 강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pp. 4-18.
  3. 소재순 (2007), 시험시공에 의한 분립체 심층혼합처리공법 적용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pp. 42-43.
  4. 신철규, 백성권, 박용부 (2005), 와이어 브러쉬를 이용한 현장 타설 말뚝의 슬라임 제거 방법, 2005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4277-4280.
  5. 유영준 (2008), 서해안지역 항만구조물기초에 적용된 심층혼합처리공법에 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pp. 34-35.
  6. 정경환, 김용완, 신민식, 한경태, 김재현 (2007), 울산신항 남방파제 기초의 DCM공법 적용 사례, 2007년 8월 준설매립기술위원회 학술발표회, 한국지반공학회, pp. 131-132.
  7. 홍원표, 윤중만, 최정희, 정형용 (1997),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하여 개량된 지반의 역학적 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7권 3호, pp. 415-423.
  8. Tan, T. S., Goh, T. L. and Yong, K. Y. (2002), Properties of Singapore Marine Clays Improved by Cement Mixing,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ASTM, Vol. 25, No. 4, pp.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