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irtual Worlds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 류철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 안보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09.01.28

Abstract

Virtual world is persistent 3D(2D) space through computers which supports real-time interaction. Children's virtual worlds are for children below 15. Its educational benefits are: practical experience, cooperation possibility, experience sharing, and optimized environment. Moreover, interesting factors from games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virtual worlds. In order to intensify the educational efficiency, goal, motivation, relationship and advice has to be considered as well. Based upon those factors, the result of analysis of current virtual worlds shows that they have clear goal. contextualization of task and appropriate reinforcement. However, for future prosperity, continuous effort for expansion of readiness, social persuasion, scaffolding are needed.

가상세계란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2D 혹은 3D로 구현된 가상 환경 속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영속적 공간으로 이 중 15세 이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세계를 어린이용 가상세계라 한다. 가상세계의 교육적 장점으로는 구체적 경험, 현존감, 경험의 공유, 협동 가능성, 유연한 환경을 꼽을 수 있으며 여기에 게임이 가지고 있는 흥미 요소인 명확한 목표, 도전, 협동, 경쟁, 환상을 보탬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가상세계에서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표, 동기, 관계, 도움의 네 영역에 속하는 요소들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어린이용 가상세계인 <노리스쿨>, <미스터 텅두>, <아즈로크>를 분석해 본 결과 명확한 목표 제시, 과제의 맥락화, 적절한 강화 제공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준비성, 사회적 설득, 비계 설정 부분의 보완이 필요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정, 김현정,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을 위한 게임 요인 적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16권, 제2호, pp.271-280, 2003.
  2. 위정현, 오나라,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전략경영 교육방법론의 효과 분석", 한국전략경영학회 2006 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11-126, 2006.
  3. 윤형섭, "온라인 에듀테인먼트의 진화방향과 가능성", 방송공학회지, 제10권, 제2호, pp.95-104, 2005.
  4. 조은하, "에듀테인먼트 게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1호, pp.66-75, 2007.
  5. B. Book, "Moving Beyond the Game: Social Virtual Worlds," State of play 2 Conference, 2004.
  6. B. Johnson, "Place-Based Storytelling Tools: A New Look at Monticello," Museums and the Web 2005: Proceedings, 2005.
  7. D. Zeltzer, "Virtual Environments: Where Are We Going-" Proceedings 12th International IDATE Conference, 1990.
  8. E. L. Deci,・R. J. Vallerand, L. G. Pelletier, and R. M. Ryan,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6, Issue.3&4, pp.325-346, 199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603&4_6
  9. F. Garzotto,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Multiplayer Online Games for Childre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2007.
  10. F. Garzotto and M. Forfori, "Hypertext and Social Interaction in 2D and 3D Edutainment Space for Children," Proceedings of the seventeenth conference on Hypertext and hypermedia, 2006.
  11. M. Bricken, "Virtual Reality Leaning Environment: Potential and Challenges," ACM SIGGRAPH Computer Graphics Vol.25, Issue.3, pp.178-184, 1991. https://doi.org/10.1145/126640.126657
  12. M. D. Dickey, "3D Virtual Worlds: An Emerging Technology for Traditional and Distance Learning," ONL Conference, 2003.
  13. N. D. Blas, C. Poggi, and T. C. Reeves, "Collaborative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 Design Factors and Evaluation Result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sciences, 2006.
  14. S. M. Fisch, "Making Educational Computer Games 'Educational," IDC '05: Proceedings of the 2005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2005.
  15. T. A. Mikropoulos and V. Strouboulis, "Factor that influence presence in educational virtual environm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7, No.5, pp.582-591, 2004. https://doi.org/10.1089/cpb.2004.7.582
  16. W. Winn, "A conceptual Basis for educational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1993.
  17. 김신자, 주영주, 김영수, 한정선, 강명희, 정재삼,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6.
  18. 문무경,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또래 관계를 중심으로, 창지사, 2005.
  19. 조경원, 이기숙, 오욱환, 이귀윤, 오은경, 교육학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20. W. Antia, 김아영, 백화정, 설인자, 정명숙, 교육 심리학, 박학사, 2004.
  21. D. Bell, B. D. Loader, N. Please, and D. Schuler, Cyberculture, Routledge, 2004.
  22. D. W. Johnson and Frank P. Johnson, 박인우, 최정임, 이재경, 협동 학습을 위한 참여적 학습자, 아카데미프레스, 2004.
  23. D. J. Stipek,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Macmillan, 1996.
  24. H. Johan, 김윤수, 호모 루덴스, 까치, 2007.
  25. L. Manovich,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