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개 농촌지역 주민의 체구성, 운동 및 체력상태와 골밀도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Exercise Status, Fitness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Some Rural Residents

  • 양란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김건엽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대경 (목원대학교 스포츠산업과학부) ;
  • 노영수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Yang, Ra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
  • Kim, Keon-Yeop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Dae-Kyung (Department of Sports Industry Science, Mokwon University) ;
  • Roh, Young-Soo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발행 : 2009.11.30

초록

본 논문은 일개 농촌주민들을 대상으로 신체구성, 운동(과거 운동여부), 체력상태,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와의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농촌 주민들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14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결과로서 조사대상자들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낮았으며(p<0.05),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보다 골밀도가 낮았다(p<0.05). 그리고, 체중 BMI 체지방량 제지방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과거 운동을 했던 경우와 기초 대사량이 높은 경우, 근육량이 많은 경우 골밀도가 높았다(p<0.01). 또한, 악력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 등 체력이 좋은 경우 골밀도가 높았으며(p<0.01), 골밀도 수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회귀분석결과 연령, 만성질환 유무, 과거 운동유무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ive the osteoporosis of a rural community people, after finding out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a state of health, that of exercise,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of the rural community adult. the subject for 143 adults of a rural community, the 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a state of health, that of exercise, body measurement and basic physical strength was studi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urvey subjects, the more the age increased(p<0.01)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was, the lower bone mineral density was(p<0.05). 2.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ho had chronic diseases than those who didn't (p<0.05). 3.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had much weight, BMI, body fat mass, and fat-free mass than those who didn't(p<0.01). 4.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 in those who exercised in the past, whose basal metabolism was high, and whose muscle mass was much(p<0.05). 5. Bone mineral density was high in those who had much grasping power and a number of sit-ups and push-ups (p<0.01). 6.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BMD w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re the age increased, the more the score of bone density decreased when they had chronic diseases. And the exercise of the past affected the increase of bone mineral den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신민호.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조기검진도구로서 골초음파의 유용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김수정. 농촌 중노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2003.
  4. 이은주, 손숙미. 폐경 후 골밀도 저하 여성의 골밀도와 식생활 관련 요인에 관한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4;9(5):644-653.
  5. 이운정. 성인여성의 식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와 골밀도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서대수. 식생활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분석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04.
  7. 박채영. 중노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및 골밀도간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2.
  8. 진미란. 50세 이상 남성의 생활습관,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 상태에 따른 골밀도. 이화여자대학교 영양식품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Shuhei N, Susumu S, Akihiro T, Daiki H, Tadashi T, Takashi T & Hironobu. Effect of ethanol on bone mineral density of rats evaluated by dual-photon X-ray absorptiometr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2000;28(6),317-320.
  10. Rapuri P, Gallagher JC, Balhorn KE, & Ryschon KL. Somking and bone metabolism in elderly women. 2000;Bone27(3),429-436. https://doi.org/10.1016/S8756-3282(00)00341-0
  11. Feskanich D, Korrick S, Greenspan SL, Rosen H, & Colditz GA.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densityamong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Women's Health 1999;8(1),65-73. https://doi.org/10.1089/jwh.1999.8.65
  12. Hannan M, Tucker KL, Dawson-Hughew B, Cupples L, Felson DT & Kiel DP.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boneloss in elderly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2000;15(12), 2504-2512. https://doi.org/10.1359/jbmr.2000.15.12.2504
  13. 우순임, 조성숙. 신체구성성분, 영양상태 및 월경기능이 여자 체조선수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9;32(1):50-63.
  14. 최선혜, 승정자, 김미현, 이숙연, 송숙자. 일부 폐경기 여성의 채식군과 일반식군의 영양섭취 상태, 골대사 및 만성 퇴행성 질환의 위험인자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호지 1999;4(3):412-420.
  15. 김수미. 중년여성들에 있어서 신체조성, 최대산소섭취량 및 근력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6. 김진태. 운동이 여성들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7. 정성웅, 한송이, 김경미, 이상엽, 김윤진 등.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0 ; 21(4);523-532.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 of Yoga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vol.11, pp.6,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6.2099
  2. Gender Differences and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pp.1931-843X, 2017, https://doi.org/10.1089/jwh.2016.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