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광현, 김영숙, 이수남, 이은상, 최양미, 부모역할과 자녀교육, 교육과학사. 2002.
- 권미경, 대학생의 부모역할 인지에 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 10권 4호, pp. 413-422, 2004.
- 김은주,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동의, 아동간호학회지, 제 12권 1, pp. 89-95, 2006.
- 김은진,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박병태, 부모, 또래애착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박성연, 도현심, 정승원,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학지사, 1996.
- 박화윤, 최재숙, 마지순, 부모역할, 자녀양육과 양육태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 23권 5호, pp. 65-76, 2002.
- 방희정, 애착연구를 통해 본 부모역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제 14권 1호, pp. 67-91, 2009.
- 김은주, 여대생의 부모기 인식, 부모됨 동기 및 부모역할 동의, 아동간호학회지, 제2권 1호, pp. 89-95, 2006.
- 신향숙, 장윤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19권 5호, pp.189-202, 2001.
- 숙명여자대학교아동연구센터, 현대사회와 부모,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 양옥경, 한국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 7권, pp. 175-199, 2001.
-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유계숙, 정현숙,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20권 3호, pp. 39-47, 2002.
- 유안진, 김연진, 부모교육, 정민사, 1987.
- 유안진, 신양재, 대학생의 부모됨의 동기와 부모역할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 31권 4호, pp. 141-155, 1993.
- 이내은,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청소년의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시은, 이재창, 대학생의 애착유형, 부모.또래애착, 그리고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4호, pp. 947-963, 2005.
-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이항순, 유안진, 남자 대학생의 친부에 대한 친밀도와 부성역할 지각 및 미래자기부성역할 지각간의 상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4권 2호, pp. 215-225, 1996.
- 임지연, 부모에 대한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장휘숙, 애착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심리학회 구두발표, pp. 276-277, 2006.
- 정미라, 이희선, 배소연, 대학생들의 예비 부모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제 15권 1호, pp. 179-197, 1995.
- 정은순, 대학생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조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정정숙, 자아 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현온강,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Allen, J., & Land, D., Attachment in adolescent. In J. Cassidy & P. R. Shaver(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pp. 319-335). New York: Guilford Press
- Benson, M. J., Arditti, J., De Atiles. J. T. R., & Smith, 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ttribution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intimate others. Journal of family issue, 13(4), 450-464, 1992. https://doi.org/10.1177/019251392013004004
- Bretherton, T. Attachment theory: Retrospect and prospect. In I. Bretherton & E. Waters(Eds.), Growing points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pp. 3-38. 1985.
- Bretherton, T., & Munholland, K. A.,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P. R. Shaver(Ed.),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9.
- Eysenck, H., & Wakefield, J., Psych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dvances in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3, pp. 151-192. 1981. https://doi.org/10.1016/0146-6402(81)90002-3
- Goodrich, W., Ryder, R., & Rausch, H., Patterns of newlywed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0, pp. 383-389, 1968. https://doi.org/10.2307/349904
- Goodyer, I. M. Family relationships, life events and childhood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1990. 654-192.
- Hazzard, A., Christensen. A., Margolin, G.,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al behaviors. J Abnorm psychology, 11(2), pp. 49-59, 1983. https://doi.org/10.1007/BF00912177
- Kettrerson, T., & Blustein, D. L.,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 pp. 167-178,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3.x
- Lewis, J. M., & Owen, M. T., Stability and change in family -of- orthopsychiatry, 55(4), pp. 614-618, 1995.
- Leaper, C. Anderson, J. K., & Sanders, P., Moderators of gender effects on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a meta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pp. 3-27, 1995.
- Maccoby, E. E. & Martain, J. A.(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IV. N.Y: John Wiley & Sons, 1999.
- Main, M, Kaplan, N., & Casidy, J.,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Q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L. Bretherton & E. Waters (Eds.), Growing point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p.33-35).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0(1-2 Serial No. 209), 1985.
- Rossi, A. S., Transition ti parenthood, In A. Skolnick, & J.K. Skolnick(eds.). Family in transition 5 ed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86.
- Snyder, D.,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1, pp. 813-823, 1979. https://doi.org/10.2307/351481
- Sroufe, L. A. & Fleeson, J.,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In W. Hartup & Z. Rubin(Ed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 51-71). Hillsdale, NJ: Erlbaum, 1986.
- Veevers, J. E. The social meanings of parenthood. Psychiatry, 36, pp. 391-310, 1973. https://doi.org/10.1080/00332747.1973.11023764
- Fawccett, J. T.,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Marriage and family review, 12, pp. 12-34, 1988.
- Veneziano, R. The importance of farther love: History and contempory evidence. Review of general of psychology, 5(4), pp. 382-405, 2001. https://doi.org/10.1037/1089-2680.5.4.382
- Vivona, J. M., Parental attachment styles of late adolescence: Quality of attachment relationship and consequences for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3), pp. 316-329,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3.316
- White, D. & Wollett, A., Families. A context for developmnet. London: The Farmer press, 1992.
- 조윤주, 성인기 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성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부모부양의무감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8권 1호, pp. 75-92, 2009.
- 이윤영, 전효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성인 애착유형과 사랑유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 14권 2호, pp. 99-121, 2009.
- 노유진, 박정윤, 김양희, 성인애착유형과 미혼남녀의 사랑유형 및 이성교제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제44권 12호, pp. 31-42, 2009.
- Turner, P. J. Relation between attachment, gender, and behavior with peers in preschool. Child development, 62, pp. 1475-1488, 1991. https://doi.org/10.2307/1130820
-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또래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1호, pp. 31-4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