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professional sports league based on the analysis of professional sports business environment

프로스포츠리그 경영환경 분석을 통한 프로스포츠 활성화 방안 연구

  • Kim, Chong (Dept. of Sport Industry & Management, Hanyang Univ.) ;
  • Cho, Seong-Sik (Dept. of Sport Industry & Management, Hanyang Univ.) ;
  • Yum, Ji-Hwa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Cyber Univ.) ;
  • Jung, Hee-Yun (Sport Economy Institute)
  • 김종 (한양대학교 스포츠 산업학과) ;
  • 조성식 (한양대학교 스포츠 산업학과) ;
  • 염지환 (한양 사이버대학교 경영학부) ;
  • 정희윤 (SEI연구소)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 revitalization of the professional league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blem based on analyzing the domestic professional sports business environment. The development plan for emerging problem is present along with guidelines that are appropriate for local environment and situation for league revitalization. First, the creation of a variety of marketing opportunity and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must b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for generating of the professional sports league's revenue. Second, Marketing of a player's potential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Third, the domestic players and foreign players salary cap celery cap placed on the proportion of salary should be lower. Finally, Youth Club, based on the activation of a growing base should be made.

본 연구는 국내 프로스포츠 경영환경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개선방안 및 프로스포츠 리그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환경 분석에 의해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프로스포츠 리그 활성화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프로구단의 수입원 창출을 위해 통합마케팅 전략 개발과 경기장 장기임대가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선수마케팅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국내선수 샐러리캡과 용병연봉 상한선이 함께 검토되는 소프트 샐러리캡을 실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소년 클럽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한 저변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홍규. 프로야구 관중추이와 수입구조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2. 곽홍규. 제3차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안. 문화관광부, 2003.
  3. 박영옥 외7명. 스포츠산업진흥 중장기 계획. 체육과학연구원, 2004.
  4. 유의동.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프로스포츠 활용방안. 체육과학연구원, 2004.
  5. 이석인, 조용찬. 스포츠시장 분석을 통한 프로야구단 합리적 운영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2(3), 453-463, 2003.
  6. 이황규. 프로축구팀의 팀 성적에 따른 관중 6수 및 경영 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897-905, 2005.
  7. 장건희. 프로야구단 프론트 조직구조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1(1), 185-195, 2004.
  8. 전호문. 스포츠 마케팅. 서울 : 학현사, 2005.
  9. 정희윤. 마케팅 활성화를 통한 프로스포츠 저변확대. 한국 스포츠 비전 심포지엄, 2008.
  10. 정희윤, 김원동, 신영락. 3대 프로리그 무엇이 문제인가. 국민체육공단, 2004.
  11. 조영호, 김종. 국내 프로스포츠구단 수익증대를 위한 비즈니스모델 개선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1(1), 25-40, 2006.
  12. 차준철, 이용균. 위기의 프로야구, 1. 줄여야 산다. 경향신문, 2007년 1월 25일.
  13. 한국프로농구연맹. 프로농구 서울 연고지 가치평가. 한국프로농구연맹, 2001.
  14. 한국프로축구연맹. 프로농구 서울 연고지 가치평가. 한국프로축구연맹, 2000.
  15. 한국프로축구연맹. K-Leage 중장기발전 계획을 위한 컨설팅. 한국프로축구연맹, 2007.
  16. Berry, L,L.. Realationship marketing, in emerging perspectioves on services marketing A.M.A. Chicago, 1983.
  17. Lombardo ,J. Sports finance. Street & Smith's Sports business journal, 1(26). 23-36, 1998.
  18. Mullin,B, Hardy,S. & Sutton, W.A. Sports marketing champaign,IL. Human Kinetics Publishers, 1993.
  19. Mullin, B. J., Stephen, H. & Williams, A.S. Sport Marketing. Human Kinetics Publishers, 2000.
  20. Rowe, D. Sports, culture, and the media.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1999.
  21. Timmer, Paul. "Business Models for electronic Markets". Electronic Market 8(2), 267-289,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