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축제방문객의 영향지각에 따른 시장세분화

Perceived Impact Based Market Segmentation Among Festival Participants

  • Lee, Gye-Hee (Dept. of Tourism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Lee, Eun-Mi (Dept. of Tourism, Kyung Buk Sicence College) ;
  • Jee, Bong-Gu (Dept. of Tourism Management, Cheongju University)
  • 발행 : 2009.12.31

초록

축제나 특별 이벤트는 관광 매력물 중 양적 질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지역사회에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 정치적 영향관계를 형성하여 지역변화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축제가 지역의 문화발전과 나아가 지역전체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축제의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환경적 영향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영주풍기 인삼축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축제의 사회 문화 환경적 영향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세분시장별 축제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2개의 매우 상이한 방문객 집단이 도출되었는데 이들은 행동의 특성면에서 뿐 만아니라 축제에 대한 가치와 만족 평가 및 재방문의도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매우 다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고평가군은 주로 본 축제의 주요시장인 50대 이후 노년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저평가군은 고평가군에 비해 연령층이 낮았다. 고평가군 참가자들의 재방문과 향후 추천의도를 높이기 위한 건강 관련 체험 프로그램을 보완 확대하고, 저평가군 청년층 참가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인삼을 이용한 화장품이나 비누 만들기 등 뷰티체험 등의 체험행사를 좀 더 집중적으로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a critical element for success of community based tourism,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ticing visitors from outside of the host community. More importantly, festivals and events contribute to improve the life quality for both hosts and gu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perceived festival impacts among visitors to Poonggi Ginseng Festival so that each segment can be treated and communicated with separatedly for utmost visiting satisfaction. In this study, two market segments based on visitors'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festival were identified, namely high appraisal group and low appraisal group. Two groups contrast sharply in terms of their behavioral patterns and perceived value and overall satisfaction.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are suggested accordingl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동완, "인구통계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의 차이," 관광학연구, 25(3), pp. 63-80, 2001.
  2. 고승익.오상운.고경실.조문수,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애착도, 지역축제 영향 인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4), pp. 177-198, 2007.
  3. 김창수.전대희),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2005-2006년 무주 반딧불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2(2), pp. 265-284, 2007.
  4. 노형진,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형설출판사, 2005.
  5. 류정아, 축제인류학, 서울:살림출판사, 2003.
  6. 박의서, "강화고인돌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 평가". 복지행정연구, 20, pp. 129-145, 2004.
  7. 변우희,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관광영향도 평가 및 비교분석". 관광.레져연구, 13(1), 23-41, 2001.
  8. 안경모.이광우, "지역축제의 관광가치추정: 이천도자기축제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4(2), pp. 225-237, 2005.
  9. 이강욱, "문화관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효율과 방안; 금산인삼축제 사례연구", 한국관광연구원, 1998.
  10. 이은미.이계희, "관광지로서의 영화촬영지에서 Push-Pull 동기모형의 유효성", 소비문화연구, 9(2), pp. 187-204, 2006.
  11.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경기대학교, 1997.
  12. 이장주.조현상,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학연구, 24(1), pp. 205-224, 2000.
  13. 이충기.이태희, "경주세계문화엑스포에 대한 축제참가 동기 분석", 관광학연구, 23(2), pp. 84-98, 2000.
  14. 이충기, "2005 영주 풍기인삼축제 최종결과보고서", 풍기인삼추진위원회.영주시, 2006.
  15. 이후석.오민재, "방문객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인식 차이: 이천도자기축제 방문객 유형별 분석", 관광연구저널, 20(2), pp. 45-56, 2006.
  16. 정명희, "축제방문객이 지각한 도시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 관광연구논총, 15, pp. 243-263. 2003.
  17. 조명환.장희정, "전통문화의 관광자원화에 대한 지역 주민의 태도연구", 관광.레져연구, 17(1), pp. 133-154, 2005.
  18. 지진호. "문화관광축제의 관광매력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축제평가를 통한 차별화 방, 지역혁신포럼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 논문집, 2006.
  19. 추경미. "지역축제와 문화정체성 확립". 기전문화예술, 3.4월호, 2003.
  20. A. Milman and A. Pizam, "Social Impact of Tourism on Central Florida", Annals of Tourism Research, 15, pp. 191-204, 1988. https://doi.org/10.1016/0160-7383(88)90082-5
  21. D. Gursoy, Kim, K., and M. Uysal, "Perceived impacts of festival and special events by organizers: an extension and validation", Tourism Management, 25, pp. 171-181, 2004.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092-X
  22. J. C. Liu, and T. Var, "Resident attitudes toward tourism impacts in Hawaii", Annals of Tourism Research, 13(2), pp. 193-214, 1986. https://doi.org/10.1016/0160-7383(86)90037-X
  23. J. L. Crompton and S. L. McKay, , "Motives of visitors attending festival even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2), pp. 425-439, 1997. https://doi.org/10.1016/S0160-7383(97)80010-2
  24. K. F. Backman, S. J. Backman, M. Uysal, and K. M. Sunshine, "Event Tourism: an examination of motivations and activities, Festive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3(1), pp. 15-24, 1995.
  25. K. W. Kendall and T. Var, "The perceived impacts of tourism: the state of the art", Vancouver, Simon Fraser University, 1984.
  26. R. C. Prentice, F. W. Stephen and Hamer C. , "Tourism as Experience: The Case of Heritage Park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 pp. 1-24, 1998.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084-X
  27. V. Rao, "Celebrations as social investments: Festival expenditures, unit price variation and social status in rural India". The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8(1), pp. 71-97, 2001. https://doi.org/10.1080/713601102
  28.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www.mc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