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투고 : 2009.07.31
  • 심사 : 2009.11.11
  • 발행 : 2009.12.31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의 CSR성과와 기업의 지배구조가 체계적인 관련성을 가지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양호한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은 더 높은 CSR성과를 가진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국내 CSR성과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인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업지배구조의 변수로 국내기관투자자지분율, 외국인투자지분율, 사외이사비율, 감사위원회도입과 CSR성과의 측정치로 한국경제정의연구소(KEJI)의 지수를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05까지 상장기업 130개 기업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양호한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기업과 CSR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지배구조의 변수 중 외국인투자지분율, 사외이사비율, 감사위원회도입과 CSR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호한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은 더 나은 CSR성과로 나타나고 궁극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연결고리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의 지배구조개선으로 CSR성과를 제고시키는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한국기업이 CSR활동에 있어서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에 있는 만큼 많은 경영자들에게 기업의 지배구조와 CSR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ystematic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Based on the argument that corporate governance would play the role of mitigating conflicts between firms and society, we hypothesized that corporate governance would enhance CSR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firms with good governance are predicted to have CSR performance than those with bad governance. Thes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130ce rean firms from 1998 to 2005. An index published by e rean Economic Justice mance the(KEJm) was used as the measureses wSR performance.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firms with good governance as measured by f reign investh bad goothshae directh bad goirdit committee exhibit better CSR performance. The primary purposeses this s t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es the use b' satissaction and commitment in pe bn thomedia. For these purposes, we developegoi research modehobased on the literaturesreviews es pe bn tho media, pe ceived risk and interactivity, satissaction, and commitment. This study has identified four dimensions in the concept of perceived risk, such as privacy risk, social risk, time loss risk, and economic risk, and three dimensions in the concept of perceived interactivity, such as active control, two-way communication, and responsive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