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Korean Geomorphological Unit Hydrograph for Mountain Basins

산악지역을 위한 한국형 지형수문단위도 개발

  • Kim, Hong-Ta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Shin, Hyun-Suk (Dep.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홍태 (국립환경과학원) ;
  • 신현석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 for flood runoff analysis representing Korean mountain basins have been one of big concerns for Korean hydrologists for several decades. Several traditional methods dealing with unit hydrograph have been restricted to be used in Korea basins, because of its drawbacks due to its originality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uncertainties of control parameters as well as its linearity assumption between rainfall and runoff relationship. In this paper, several geomorphological similarity relationships for Korean mountain basins was developed by using the experimental data over 40 Korean basins. Then those were applied directly to geomorphological unit hydrograph theory to meet Korean geomorphological unit hydrograph.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Andong Dam basin. The results show the applicability and simplicity of the developed Korean geomorphological unit hydrograph generally for Korean mountain basins in future. It might be needed for more valid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method over Korean reg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산악유역에서의 지형 상사를 규명하여 보고, 이를 이용하여 한국형 지형수문단위도를 유도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실제로 실무에서는 홍수분석을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단위도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한국 유역에의 적합성, 조절 매개변수 산정의 불확실성 등에 있어서 많은 어려운 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40여개의 산악 소유역의 지형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한국 지형상사를 규명하여 보았다. 다음에는 기존의 지형수문곡선 이론에 이를 적용하여 한국형 지형수문단위도 기법을 개발하고 검증하여 보았다. 개발된 공식은 각각 한국형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 한국형 지형형태-기후학적 순간단위도, 그리고 한국형 지형형태-기후학적 단위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기법은 한국형 단위도법, 강우-유출 관계의 비선형성, 기상자료의 사용, 그리고 적용의 간편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한국 산악 미계측 유역의 홍수 분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노정환, 전용운, 유철상 (2003). “GIUH 특성속도에 대한 강우의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533-545 https://doi.org/10.3741/JKWRA.2003.36.4.533
  2. 김상단, 유철상, 윤용남(2000). “지형형태학적 순간단위도의 특성속도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15-330
  3. 신현석, 박무종, 장종경(2001). “GIS를 이용한 GIUH의 매개변수 산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4
  4.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2004a). “GIS 및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407-42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5.407
  5.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2004b). “GIUH 매개변수와 지형특성인자의 상관성 검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55-62
  6. 이병운, 장대원, 김형수, 서병하 (2004). “GIUH-Clark 모형의 유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특별세션/국제세션/발표논문 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4-144
  7. 이순탁, 박종권 (1987). “하천 유출량 산정을 위한 GIUH모델.”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0권, 제4호, pp. 267-278
  8. 이원환, 전민우 (1989). “수로망 크기를 이용한 유출모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9권, 제2호, pp. 83-90
  9. 이혁규, 윤석영, 김재한 (1995). “GIUH의 지체시간 산정을 위한 수문학적 해석.”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4호, pp. 155-169
  10. 이찬주, 이두한, 김규호(2004). “지형인자를 이용한 하천분류 체계의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1-11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001
  11. 조효섭, 정관수, 김재한(2003). “GIUH적용을 위한 DEM 격자크기 및 threshold basin area의 민감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799-810 https://doi.org/10.3741/JKWRA.2003.36.5.799
  12. 최홍식 (1997). “원주천의 하천형태학적 및 수리학적 특성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1호, pp. 75-82
  13. 허창환, 이순탁 (2002). “하천유역에서 GIS를 이용한 GIUH 모형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3호, pp. 321-330 https://doi.org/10.3741/JKWRA.2002.35.3.321
  14. Gupta, Vijay K., Mesa, Oscar J., Dawdy, David R. (1994). "Multiscaling theory of flood peaks: Regional quantile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2, pp. 3405-3421 https://doi.org/10.1029/94WR01791
  15. Hack, J. T. (1957). "Studies of longitudinal profiles in Virginia and Maryland", U.S. Geol. Surv. Prof. Paper, 294-B
  16. Horton, R.E. (1932). “Drainage Basin Characteristics.” Trans. Amer. Geophys. Union. 13, pp. 350-361 https://doi.org/10.1029/TR013i001p00350
  17. Jose D. Salas, Ricardo A. Smith, Guillermo Q. Tabios, Jun-Haneng Heo (1994). “Statistical computer techniques in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olorado state university
  18. Melton, M. A. (1958). "Geometric properties of mature drainage systems and their representation in an E4 phase space", J. Geol., 66, pp. 35-54 https://doi.org/10.1086/626481
  19. Rodriguez-Iturbe, I., Valdes, J. B.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09
  20. Rodriguez-Iturbe, I., Rinaldo, L. (2003), Fractal River Basins : Chanc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Rodriguez-Iturbe, I., Sanabria, M. G. and Bras, R. L. (1982a). "A Geomorphoclimatic Theory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4, pp. 877-903 https://doi.org/10.1029/WR018i004p00877
  22. Rodriguez-Iturbe, I., Sanabria, M. G. and Camaano, G. (1982b). "On the Climatic Dependence of the IUH: A Rainfall-Runoff Analysis of the Nash Model and the Geomorphoclimatic Theo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4, pp. 887-903 https://doi.org/10.1029/WR018i004p00887
  23. Smith, J.A. (1992). "Representation of basin scale in flood peak distributions." Water Resour. Res., Vol. 28, No. 11, pp. 2993-2999 https://doi.org/10.1029/92WR01718
  24.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Trans. Am. Geophys. Union. Vol. 38, No. 6, pp.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25. Takayasu, H. (1990). Fractal in the Physical Scienc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Manchester
  26. Vijay K. Gupta, Oscar J. Mesa, David R. Dawdy (1994). "Multiscaling theory of flood peaks: Regional quantile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2, pp. 3405-3421 https://doi.org/10.1029/94WR01791
  27. 이병운, 장대원, 김형수, 서병하 (2004). “GIUH-Clark 모형의 유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특별세션/국제세션/발표논문 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4-144
  28.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2004a). “GIS 및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407-42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5.407
  29.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2004b). “GIUH 매개변수와 지형특성인자의 상관성 검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55-62
  30. 이순탁, 박종권 (1987). “하천 유출량 산정을 위한 GIUH모델.”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0권, 제4호, pp. 267-278
  31. Melton, M. A. (1958). "Geometric properties of mature drainage systems and their representation in an E4 phase space", J. Geol., 66, pp. 35-54 https://doi.org/10.1086/626481
  32. Jose D. Salas, Ricardo A. Smith, Guillermo Q. Tabios, Jun-Haneng Heo (1994). “Statistical computer techniques in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olorado state university
  33. Rodriguez-Iturbe, I., Valdes, J. B.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09

Cited by

  1. A Research on a Revised Application of Unit Hydrograph Variant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in a Rainstorm vol.44, pp.1,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41
  2. An Offer of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Unit Hydrograph in a Small Basin vol.43, pp.7,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10.43.7.635
  3. Economic Feasibility of Bucket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Farm vol.13, pp.4,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4.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