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Space Analysis of Road Traffic Flows in Seoul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Min, Hee-Hwa (School of Regional Science, Connel University) ;
  • Park, So-Hyen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민희화 (Cornell University School of Regional Science 대학원) ;
  • 박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traffic flows in Seoul and the relationship with land use patterns.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road traffic data collected at 118 observation sites over Seoul City area since 1993. We examine the time-trend of the annual average traffic flows per day during the last fourteen years. Three different trends are revealed: rapid increase during the time period between 1993 and 1997, maintenance same level after sharp decrease between year 1997 and 1998, and gradual decrease after sharp decrease between year 2003 and 2004.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road traffic flows have also been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The traffic flows in the urban center have been declined gradually, while the traffic flows in the boundary area and southern CBD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s in the land-use patterns and road traffic flows, we analyze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population and industries. We developed thre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in the land-use variables and road traffic flow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도시교통체계 확립을 위한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서울에서 대기오염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도로교통흐름의 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1990년대 중후반부터 진행되어오고 있는 수도권지역 신도시 개발로 인구분포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와 1990년대 후반의 IMF로 경제 사회 기술적 환경이 크게 바뀌면서 산업 구조의 재편과 함께 나타나고 있는 서울시 도로교통흐름과 토지이용의 시 공간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서울시 주요지점에 설치한 118개 측정지점에서 실시간 관측한 14년간의 도로교통흐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 교통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전체의 연평균일일교통량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결과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의 변화추세는 1997년과 2003년 두 시점을 변곡점으로 큰 변화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곡점들을 전후한 시점들의 도로교통흐름을 GIS를 적용하여 공간적 구조를 분석해 보면 서울시 교통흐름은 도심의 교통량감소와 시계지점의 교통량 증가, 강남권의 교통량증가, 한강교량을 통한 강남 북 간 교통량 감소 등, 뚜렷한 공간적 변화가 관찰된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시의 토지이용패턴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지역 간 기능적인 연계구 조도 크게 달라졌음을 암시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의 공간적 구조에 나타나는 변화가 서울시의 토지이용변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먼저 수도권 거주인구분포에 나타나는 변화와의 관계성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의 공간구조에 나타나는 변화는 신도시를 비롯한 경기도 지역의 거주 인구의 증가와 서울 도심지역 인구 감소 현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울시 산업구조와 분포에 나타나는 변화와 서울시 도로교통흐름의 공간적 구조에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별 도로교통량 증감률과 산업별 산업체 수와 종사자수의 증감률, 거주인구증감률을 중심으로 세 개의 선형모형을 구성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