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 최성은 (한동대학교 선린병원 호스피스센터) ;
  • 강은실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 최화숙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Published : 2008.04.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is study's design was one-group pre-post test quasi-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admitted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S hospital in P city with agre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terminal disease.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took 12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1,200 minutes altogether for 10 sess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6, 2004 to April 20,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A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named ‘Rainbow Program’) was used as a experimental tool in this study. This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It was provided by interdisciplinary hospice team (nurses, medical doctors, social worker, pastors, art therapists, and volunteers). In addition,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 by Young-Ho Yun(1998) was used to test degree of pain in physical aspect. And State-Anxiety Inventory was developed by Spielberger(1975) and translated by Kim, Jung-Tack & Shin, Dong-Gyun(1978) was used to test the degree of state-anxiety in emotional aspect. Results: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pain than before" was supported (t=-10.585, P= .000).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Wholistic Hospice Nursing Program will have a lower degree of state-anxiety than before" was supported (t=-8.234, P= .000). Conclusion: Our results testified that this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pain and state-anxiety of the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Therefore it can be used and applied actively in practice as a useful model of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by hospice professionals in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