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dium-late Maturing New Rice Cultivar with High Grain Quality, Multi-disease Resistance, Adaptability to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Hopum"

벼 중만생 최고품질 복합내병성 직파 및 이앙 겸용 "호품"

  • Received : 2008.12.24
  • Published : 20081200

Abstract

Hopum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F1 crossing Milyang165 and Iksan438 at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1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This cultivar has short culm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standard variety. This cultivar has medium size of brown rice and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leaf blas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_1$, $K_2$ and $K_3$ and stripe virus disease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Hopum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Hopum is about 6.5% and 18.7%, respectively. This cultivar 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Chucheongbyeo harvested in Gyeongki province. Its milling recovery (76.8%) and percentage of perfect-shaped milled rice (94.7%) were higher than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Hopum was 5.83 MT/ha (15% higher than Juan) under wet-direct seeding, 5.66 MT/ha (8% higher than Juan) under dry-direct seeding, and 6.00 MT/ha (8% higher than Nampyeong) under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Hopum" 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호품"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6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최고품질 복합내병성 직파 및 이앙재배 겸용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직파와 건답직파에서 8월 16일, 8월 20일로 주안벼 보다 4일 늦으며, 호남평야지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5일로 남평벼보다 1일정도 빠른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68 cm로 남평벼 보다 11 cm 작고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남평벼와 같으며 등숙비율은 다소 떨어지나 현미천립중은 24.1 g으로 중립종에 속한다. 3. 불시출수와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고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으며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높다. 유묘기 내냉성 및 임실율은 남평벼와 비슷하고 출수지연일수는 길었다. 4. 잎도열병은 중도저항성이며 흰잎마름병$(K_1{\sim}K_3)$,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이나 오갈병과 검은줄 오갈병에는 약하다. 5. 쌀알은 심복백이 거의 없으며 맑고 투명하다. 도정율은 남평보다 높으며 단백질 함량은 낮고 밥맛은 남평벼보다 좋다. 6. 담수직파 6개소에서 583 kg/10a으로 주안벼보다 15%, 건답직파 4개소에서 566 kg/10a으로 8% 증수되었으며 평야지 이앙재배에서는 600 kg/10a으로 8% 증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2004.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38-167
  2. 농촌진흥청. 2005.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36-169
  3. 농촌진흥청. 2006a.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 결과. 55-64
  4. 농촌진흥청. 2006b. 2006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사업 과제수행 계획서. 41-66
  5. 농촌진흥청. 2007. FTA 대응 농축산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품목별 기술 개발전략. 2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