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Short Stem,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Vegetable Peanut cultivar, "Jopyeong"

조숙 단경 내도복 다수성 풋땅콩 "조평"

  • Received : 2008.01.11
  • Published : 2008.03.10

Abstract

A new peanut cultivar "Jopyeong" (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6. It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very short stem cultivar "CUP brittle" and the high-yielding cultivar "Daekwang". "Jopyeong" which is Virginia plant type has 23 branch number per plant with early maturing and ellipse-shaped large kernel.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87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This variety also showed more resistant to late leaf spots compared with check one. Especially it has resistance to lodging owing to short stem and erect plant typ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Jopyeong" was out-yielded than check variety by 11% with 8.37 ton/ha for fresh pod and by 4% with 3.95 ton/ha for grain.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 다수성인 'CUP brittle'과 조숙인 '대광'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조평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평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단경 다분지성이다. 조평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 성숙협비율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7g인 대립품종이다. 도복은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 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조평은 단백질이 30.9%, 기름함량이 43.1%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2.1로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조평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8.37ton/ha로서 11% 증수되었다. 조평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일, 박희운, 박용환, 한의동, 함영수, 강광희. 1983. 땅콩 직립 고함유 다수성 신품종 '신풍땅콩'.농시보고(작물)25 : 190-194
  2. 이정일, 박희운, 한의동, 박내경. 1989. 땅콩의 연구 성과와 금후 전약. 유료작물생산과 그 이용. 심포지움 8 : 73-90
  3. 이정일,한의동,박희운,박용환,박내경.1986.땅콩 조숙 직립 대립 다수성 신품종 '대광땅콩'. 농시론문집(작물) 28(2) : 197-202
  4. 이정일, 허한순, 이승택, 정동희, 채영암, 강광희. 1994. 개방화에 대응한 특용작물의 품질고급화 전략. 한국육종학회지 26(별책2호):49-82
  5. 박장환,박희운,김석동,안병옥,허한순,이정일,김윤선. 1995. 땅콩 대립 다수성 간식용 신품종 '대풍땅콩'. 농업론문집 37(1): 156-160
  6. Pae S.B., C.S. Jung, K.W Oh, J.C. Ko, J.T. Kim, C.B. Park. 1992. The changes of growth habits and pod setting for fresh peanut by seeding dates in southern part of Korea. KJCS 47(5):374-378
  7. Pae S.B., J.T. Kim, K.B.Shim, C.D. Hwang, C.S. Chung, M.H. Lee, and K.Y. Park. 2007. Effects of plant types and cultivars on pod yield in late seeing peanut. KJCS 52(1):55-59
  8. 농촌진흥청. 2004. 땅콩우량계통 지역적응시험. 신품종 개발 공동연구보고서: 556-576
  9. 농촌진흥청. 2005. 땅콩우량계통 지역적응시험. 신품종 개발 공동연구보고서: 553-566
  10. 농촌진흥청. 2006. 2006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 결과. 415-426
  11. 농촌진흥청. 2006. 2006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연구사업 과제수행계획서. 196-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