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wing Methods of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Reinforcing the Opening of Clothes-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바느질기법에 대한 연구 I - 트임 보강을 중심으로 -

  • Ku, Nam-Ok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구남옥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sewing methods used to reinforce the opening of clothes of the Joseon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a total of 117 clothing items of the Joseon peri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ost costumes of the Joseon period had the opening. The purpose of the opening was to allow one to put on and take off a costume, act comfortably, and turn a costume Inside out. The opening was located on the Side, Conte. Back, fgwi(Side opening of pants), Wristband, Armhole, and Godae(the bark part of the collar). 2. As the opening tended to get easily worn out, it was often reinforced. The 1911owing three methods were used to reinforce the opening of clothing items of the Joseon period: a method to attach a cloth such as Dang, Binding, and Badae; a method using a variety of knots; and a method by sewing stitches such as a sort of cross stitch called Satteugi, Prick stitch, and Loop. 3. The most frequently used reinforcing method was the one that used a knot(34 items), followed by the one by sewing Satteugi(27 items), and the one using Dang(25item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location of the opening was Side(59 items), followed by Agui(37 items), Wristband(19 items), and Center Back(13 items). 4. The reinforced opening made a costume more endurable and elastic, decorative and neat.

Keywords

References

  1. 금종숙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정 (2006). 광주출토 조선전기 적성이씨(여. 1458-1538) 저고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문공화 (2004). 조선시대 단령의 착용규례와 실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서지혜(2001). 조선시대 광주.전남지역 출토 철릭에 관한 연구: 15-17세기 철릭의 구성과 바느질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안명숙 (200) 김덕령장군 묘 출토복식의 실태와 바느질법 연구. 광주대학교 민족문화예술연구소 논문집, 11
  6. 안인실 (2001). 조선시대 여자바지 연구 : 유물의 구성과 복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정자 (1992). 16-17세기 저고리의 바느질기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황조 (2006). 조선시대 액주음의 조형적 특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장인우 (2001). 출토복식을 통해본 17세기 봉제구성 - 임경백. 임계백 묘 중심-. 복식, 51(1)
  10.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솜철릭 구성에 대하여. 복식, 52(8)
  11. 정경임 (2003). 고려후기 요선철릭에 관한 연구 : 해인사 유물 부원 재현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광희 (1984). 단령 및 창의 봉제에 관하여. 복식, 8
  13. 진현자 (2007). 조선 전기 단령의 모양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자료검색일 2008. 4. 26, 자료출처 http://krdi세기.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40093900&query1=A040093900#A040093900
  15. 자료검색일 2008. 4. 26, 자료출처 http://engdi세기.daum.net/dicen/view_detail.do?q=%세기6%AE%c0%세기세기%B4%D9&qalias=K856530
  16. 라사라 복식대사전
  17. 심수륜 (1534-1589: 심수륜묘출토복식 (2004), p. 198)
  18. 정응두(1508-1572: 한국복식 9 (1991), p. 172)
  19. 이석명(1513-1583: 이석명묘출조복식조사보고서 (2000), p. 56)
  20. 벽진이씨(?-1985: 조선전기출토복식연구 (1988), p. 235)
  21. 강대호(1541-1624: 한국복식 23 (2005), p. 86, p. 90, p. 92, p. 96)
  22. 이익정 바지(1699-1782: 명선 중, p. 154). 개구멍바지(우리옷과 장신구 (2003), p. 271)
  23.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54
  24. 영친왕 바지 (1922: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2002), pp. 244-245)
  25. 자료검색일:2008. 4. 20.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pages/portal/search/full.jsp?dbNoArr=3&docNo=00117405
  26.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시대풍속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198
  27.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발달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300
  28. 국립민속박물관 (2002). 조선시대풍속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209
  29. 이경자 외2인 (2003).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71
  30. 박성실, 고부자 (1992). 서울시 하계동 출토 문화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0
  31. 이동아 (2006). 이응해 출토복식의 직령포와 창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2
  32. 이순원 외2인 (2000).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박물관, p. 68
  33.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122
  34. 송미경 (2004) 심수륜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심수륜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22
  35. 고복남 (1986). 한국전통복식사연구. 서울: 일지사, p. 358
  36. 박성실 (1988).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
  37. 이순원 외2인 (2000). 이석명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박물관, p. 61
  38. 이상은 (2004). 이응해 출토복식 연구.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충북: 국립충주박물관, p. 149
  39.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서울: 경운박물관, p. 78
  40. 박성실 외2인 (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200
  41. 고부자 (2003). 충남 예산 출토 파평윤씨 유물연구. 한국복식, 21.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00
  42. 이경자, 홍나영 (1998). 개성복식의 연구.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113
  43.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93
  44. 이은주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 보고서. 경북: 안동대학교박물관, p. 200
  45. 김영재 (2004). 이응해 출토복식의 바느질법과 특성.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충북: 국립충주박물관, p. 163
  46.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 유물. 한국복식, 23.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96
  47. 송미경 (2004) 심수륜묘 출토유물 복식고찰. 심수륜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71
  48.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236
  49.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172
  50. 이은주 외2인 (2005).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73
  51. 송미경 (2007). 김확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 102
  52. 박성실 (1998).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서울: 현암사, p. 235
  53. 서울역사박물관 (2003). 조경묘출토유의.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p. 51
  54. 고부자 (2005). 경기도 파주 출토 진주강씨 유물. 한국복식, 23.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85
  55.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192
  56.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6
  57.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p. 108
  58. 한국복식문화사전. 검색어:개밑단추. 자료검색일 2008. 5. 22, 자료출처 http://gate.dbmedia.세기o.kr/dressing/index.htm
  59. 유희경 외2인 (1989). 염습의. 안동김씨분묘조사발굴보고서. 충남: 온양민속박물관, p. 185
  60. 유희경, 김미자 (1991). 출토복식. 진주하씨묘출토문헌과 복식조사보고서. 진주: 건들바우박물관, p. 99
  61. 김영숙 (2002).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서울: 신유, p. 268
  62.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p. 117
  63.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p. 126
  64. 고부자, 박성실 (1995). 경주출토 동래정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8, pp. 95-96
  65. 이은주 (2003). 동래정씨 흑곡공일가 남자묘에서 출토된 복식류.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 경기도박물관, pp. 182-183
  66. 고부자 (2001). 충남 예산 출토 파평윤씨 유물 연구. 한국복식, 21.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96
  67. 송미경 (2007). 김확합장묘 출토복식 연구. 김확합장묘 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178
  68. 송미경 외3인 (2005). 연안김씨묘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연안김씨묘출토복식. 경기: 경기도박물관, p. 256
  69. 고부자 (1999). 일영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한국복식, 17.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66
  70. 박성실 (2002). 서울시 중계동 출토 성주이씨 대사헌공 언웅묘 복식고찰. 한국복식, 20. 서울: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31
  7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