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ufacturing Process and Technology of Korean Costumes Made of Fur and Loather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의 제작과정과 기술

  • An, Bo-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안보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From the ancient Korea to the late Joseon Korean fur and leather had been preferred in and out of Korea for their good quality and excellent manufacturing skill. Since Unified Silla (A.D.676${\sim}$A.D.936) Korean fur and leather were manufactured divisionally by workmen specialized in materials and products, and such manufacturing process was succeeded to Goryeo and Joseon. Manufacturing of fur and leather was consisted of as follows: hunting and butchering - peeling - beating with a paddle and removing fat - oil manufacturing - drying - tanning, then cutting and sewing, and there was a special caring method. In order to make good fur and leather, each process of manufacturing needed particular techniques and all available methods were tried to have tender fur and leather by using smoking, excrement, lime, vegetable tannin and even cerebral liquid. And also required mouth-chewing and hand-pounding with a lot of time and of labor Keeping furs resilience and flexibility, sowing several skins together, even when the after-all-process skin was converted into clothes, was much more difficult than sewing fabric. Thus, the manufacturing cost was as much expensive as skin materials, and the volume of manufacturing of fur and leather was also limited. Therefore, fur and leather must have been popular for scarcity valu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is scarcity must have caused an extreme luxury of fur.

Keywords

References

  1. 世祖實錄 5年 8月 丁丑(28日). 是以一皮甲之費幾至五十餘匹
  2. 燕山君日記 8年 10月 丁未(8日). 貂皮價極踴貴, 一領至直緜布十匹.林園十六志 卷3 膽用志. 一貂之皮方益尺積六十餘貂僅成
  3. 박선희 (2004). 고조선의 의복재료-중국 및 북방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단국학연구, 10호. 단군학회, pp. 141-171
  4. 日本書紀 卷15. 仁賢 6年. 六年秋九月己酉朔壬子 遣日吉士 使高麗 召巧手者
  5. 東野治之 (1989). 正倉院文書と木簡の硏究, p. 316. p. 346
  6. 崔在錫 (1994). 輸出品을 통해 본 統一新羅와 日本의 美術工藝. 民族文化論叢, 15
  7. 三國史記. 職官誌
  8. 萬機要覽 財用編
  9. 사회과학연구소 편 (1989). 조선고대사. 평양: 한마당, p. 45
  10.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지역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9
  11. 안보연 (2005).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p. 80- 83
  12. 박남수 (1996). 新羅手工業史. 신서원, p. 115
  13. 下山晃 (2005). 毛皮と皮革の文明史. ミネルヴ書房, pp. 32-33
  14. 안보연 (2005).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8
  15. 정지연, 남옥희 외 (1992). 우리나라 전통신의 변천과 제작과정에 대한 고찰-朝鮮시대 태사鞋, 雲鞋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家政學硏究. 명지대학교, pp. 38-39
  16. 조원복 (1978). 토끼 도살 및 모피 관리. 농업기술, 1월호. 농촌진흥청, pp. 12-13
  17. 金炯淑 (1941). 筒易毛皮 닉이는 법. 農業生活, 13(5)
  18. 강만길 (1964). 선초 백정고. 사학연구, 18호, p. 509
  19. 정운길 (2000). 밀레니엄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20. 金炯淑 (1941). 筒易毛皮 닉이는 법. 農業生活, 13(5), p. 26
  21. 김종태 (1990). 韓國手工藝美術. 예경산업사, pp. 288- 289
  22. 황기덕 (1984). 조선 원시 및 고대 사회의 기술발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p. 165
  23. 정동찬 외 (1997).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V)-목공도구. 가죽다루기. 국립중앙과학관 학술총서 (18). 국립중앙과학관
  24. 김종태 (1990). 韓國手工藝美術. 예경산업사, pp.325-326
  25. 韓桓洙 (1988). 피혁산업의 유래. 정현사, p. 10
  26. 韓桓洙 (1988). 피혁산업의 유래. 정현사, p. 9
  27. 황철산 (1957). 구피의(狗皮衣)에 관한 고찰. 문화유산, 5.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출판사, p. 58
  28. 井上泰男 (1992). 衣服の民俗誌. 문화출판국, pp. 25-42
  29. 김영련 (1985). 유피재료인 탄닌에 관하여. 산림, 9월호. 산림조합중앙회, pp. 54-59
  30. 金炯淑 (1939). 토끼 가죽 베끼는 法. 農業生活, 12 (7). 平壤: 農民生活社, pp. 41-43
  31. 한창수 (1976). 토끼털가죽 다루기. 새마을, 21. 대한공론사, pp. 108-109
  32. Horn, Marilyn J. (1968). The Second Skin: An Interdiciplinary Study of Clothing. 이화연 역 (1998). 의복, 제 2의 피부. 까치, p. 54
  33. 데.체벤도르찌, 쇼가르 라이오쉬 (1995) 몽골 지역의 일부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털, 가죽 제품과 씨앗에 대해서. 한국민족학연구, 2월호. 단국대학교 한국민족학연구소, p. 87, p. 98
  34. 데.체벤도르찌, 쇼가르 라이오쉬 (1995) 몽골 지역의 일부 흉노 무덤에서 출토된 털, 가죽 제품과 씨앗에 대해서. 한국민족학연구, 2월호. 단국대학교 한국민족학연구소, p. 89, p. 109
  35. 張京淑 (2005). 한국 고대 갑옷과 투구의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77-208
  36. 高麗史 卷79 志33
  37. 뿌리깊은 나무 (1989). 겨울 한복. 대원사, p. 112
  38. 中宗實錄 37年 8月 壬辰(15日). 皆不以全皮用之 而裁割用之也 而又皮之堅靭 不在於長短 則三四尺之皮 亦可用也
  39. 肅宗實錄 21年 7月 戊寅(18日). 以牛馬皮裁多漆 作爲甲冑 (중략) 比物輕不重
  40. 星湖僿說 卷15 萬物門 服飾門裘條
  41.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p. 490-493
  42. 世宗實錄 13年 3月 戊寅(14日)
  43. 成宗實錄 16年 2月 戊寅(26日), 24年 6月 丁亥(25日), 24年 12月 壬戌(2日)
  44. 中宗實錄 20年 10月 己亥(14日), 23年 1月 癸巳(20日)
  45. 진성기 (1979). 제주민속의 멋. 열화당, pp.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