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추구의복이미지에 따른 의류제품 디자인 설계품질에 관한 연구 -QFD를 이용한 중.노년층 여성 정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Apparel Product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Image Preference -Applied to Quality Function Deployment Focused on Middle Aged and Aged Women's Formal Wear-

  • 노영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 박재옥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Row, 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Park, Ja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8.10.31

초록

The subjects of tt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sim$50s and older women aged 60 and over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Kyonggi-do, Korea. Through studying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regarding the attributes of image preference in terms of the levels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the target consumers' demand has been studied. And, they are applied to a QFD Matrix,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product quality and the guidelines of clothing design. For this study, clothing image preference is categorized as three types: fashionable and urbane image, elegant and formal image, comfortable and active image. It has also been found that middle-aged and older women think the clothing that projects fashionable and urbane image needs more improvement that those for other images. To review demands for the clothing image preference attribute of formal suits for middle-aged and older women, the priority of these attributes through QFD Matrix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and dress elements emphasized by designers has been examined. In reflecting clothing image preference by consumers for their formal two-piece suits,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related to material in order of importance were material type, style, thickness and texture, and those related to color were the number of colors used and coloring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은주. (1989). 이미지 전달요소로서의 TEXTURE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경훈. (2003). 고객지향적 품질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QFD(품질기능전개) 기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광수. (2000). QFD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논문, 35(1), 599−612
  4. 김미영. (1989).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연성, 박상찬, 박영택, 서영호, 유한주, 이동규. (2004). 품질경영론 (제3판). 서울: 박영사
  6. 김유덕. (2003).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이미지와 의복관심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유진, 이경희. (2000). 의복디자인 조형적 특성에 따른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7), 976−986
  8. 김일분. (1998).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정화, 이선영, 홍경희. (2000). 중년 여성의 감성 Brassiere개발 (제1보)-소비자 요구분석을 기초로 한 제품 디자인 요소 추출-. 한국의류학회지, 24(5), 714−723
  10. 김춘성, 나영주. (1999). 견직물의 태와 감성 차원의 이미지 스케일에 관한 연구: 넥타이용 직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6), 898−908
  11. 박영택. (1995). 품질기능전개의 확장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25(2), 622−627
  12. 박정혜.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이경림, 박숙현. (2004). 신체만족도와 신체인지도에 따른 의복맞음성 만족도. 복식, 54(1), 69−81
  14. 이경희, 이경희. (1993). 트리밍에 따른 소재의 시각적 평가. 가정대학연구보고, 19, 91−102
  15. 이숙희, 임숙자. (2003). 선호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7(1), 100−110
  16. 이은영. (2003). 복식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17. 이종철. (2001). 제화의 고객지향적 품질창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Kano의 모형과 QFD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정은진. (2003). 서울시 주상복합건물의 지역별 주거 특성. 대한지리학회, 38(5), 741−753
  19. 정인희.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 차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인희. (2001). 여자대학생의 의복추구이미지와 소재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929−638
  21.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홍경희. (2002). 감성공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최적 브래지어 설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9(3), 226−237
  23. 加藤雪枝. (1984). 被服の形態と色彩效果に關する-運の硏究. 日本纖維製品消費科學會誌, 25(9), 425−427
  24. 渡子, 川本榮子, 中川早苗. (1993). 服裝におけるイメ-ジとの關連について. 日本家政學會誌, 42(5), 459−464
  25. Bergquist, K. & Abeysekera, J. (1996).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A means for developing usable prod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Ergonomics, 18, 269−275 https://doi.org/10.1016/0169-8141(95)00051-8
  26. Day, R. G. (1993). Quality function deployment: Linking a company with Its customers. Wisconsin: ASQC
  27. Hauser, T. R. & Clausing, D. (1988). The house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66, 63−73
  28.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9. Kim, J. H., Hong, K. H., & Scheurell, D. M. (2004). Applying QFD in the development of sensible brassiere for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2), 1596−1604
  30. Lymann, D.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s and data analysis. CA: Duxtury
  31. Scheurell, D. M. (1999). Apply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 the apparel indust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2(2), 108−124
  32. Scheurell, D. M. (2001). Creating protective clothing in the context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8(2), 119−126

피인용 문헌

  1.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of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for utilized fabrics and preferences of fashion images vol.24, pp.1,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1.027
  2. Body Cathexis and Clothing Image of Female Collegians by Somatotype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856/kjcls.2012.23.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