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Catchment in Eoseungsaeng-oreum, Jeju Island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 -

  • KIM, Tae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
  • AN, Junggi (Team of Environmental Geology, KRC Jeju Province Office)
  • 김태호 (제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 안중기 (한국농촌공사 제주지역본부 환경지질팀)
  • Received : 2008.06.07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In order to examin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scoria cones in Jeju Island, hydr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basin (5.1 ha) of Eoseungsaeng-oreum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covered with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serrata. Although runoff has continuously occurred during the observed period, the baseflow gradually increased from April and decreased from October. The peak flow approximately corresponded to every rainfall events except for the rainfall events which has slight total precipitation and no previous precipitation. The experimental basin shows flash runoff response and short lag time; the mean lag time is 35.8 minutes. Although the runoff ratio of quick flow is proportional to total precipitation, the increasing rate is low and the maximum runoff ratio is 24.7%. In addition, the runoff ratio is less than 1% in 68.3% of the rainfall events, suggesting that the portion of quick flow to total precipitation is low. The rainfall events with relatively long event time demonstrated a secondary peak generated by translatory flow. The runoff characteristics seem to be related to local impermeable beds in the experimental basin.

한라산 어승생오름에서 수문 관측을 실시하여 제주도 스코리아콘 소유역의 유출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유역은 면적이 5.1ha이며, 식생은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실험 유역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기저 유출은 4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10월 이후에 다시 감소하였다. 강우량이 현저하게 작거나 선행 강우가 없는 일부 강우 이벤트를 제외하면 강우 발생시에는 대부분 유출의 피크가 출현하였다. 또한 하이드로그래프의 상승 곡선과 하강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섬광적인 유출 특성을 보이며, 지체 시간도 매우 짧아 평균 35.8분에 불과하다. 연속 강우량이 증가하면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도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크지 않고 최대 유출률도 24.7%에 불과하다. 또한 68.3%의 강우 이벤트에서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은 1%를 넘지 못할 만큼 총강우량에 대하여 빠른 유출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비교적 지속 시간이 긴 강우 이벤트에서는 측방침투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 완만한 2차 피크도 출현하였다. 이런 유출 특성에는 실험 유역의 국지적인 불투수층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제주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