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uilt feelings are dysfunctional feelings that the primary caregiver of the frail elder are apt to have and those feelings increase a burden of caring, while there is lack of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guilt feelings on caring behavior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primary caregivers' guilt feelings on their burden of caring and request behaviors for help with caring, paying attention to their guilt feelings in our society where Confucian values toward supporting the elderly have remain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20 primary caregivers caring frail elders over 60 years of age by visiting. As a tool for measuring guilt feelings, a self-designed measure for caregivers was used (${\alpha}=.949$), and factors of guilt feeli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namely, the factors of lack of self-control, lack of resources, burnout, and the normative factor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guilt feelings of caregivers as family member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feeling of burden of caring and the feeling of burden have even effects on the four factors of guilt feelings. Second, when primary caregivers request help with caring, they feel guilty toward cohabiting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and also they show no guilt feelings when using day-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Especially, guilt feeling factors affecting primary caregivers were found to be the normative factor to cohabiting family members, the factor of lack of resources to neighbors, and the factor of burnout to using day-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is result tells that the dysfunctional feelings of primary caregivers namely guilt feelings arising when asking help with caring not only increase their burden of caring but also can cause difficulties in sharing the role of the caregiver. Accordingly for the mental health of caregivers, we should develop programs with which we could understand and cope with their guilt feelings.
죄책감은 요보호노인의 주부양자가 가지기 쉬운 역기능적인 감정으로 수발부담을 이중으로 가중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죄책감이 수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 실증연구는 거의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부양에 대한 유교적인 가치가 아직 남아 있는 우리사회에서 부양자가 가지는 죄책감에 착안하여 죄책감이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수발도움요청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는 60세 이상의 요보호노인을 수발하고 있는 주수발자 220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하였다. 죄책감 측정도구는 수발자용으로 자체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고(${\alpha}=.949$), 죄책감은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어 자기통제결핍형, 자원결핍형, 소진형, 규범형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수발자의 죄책감은 부양부담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며 부양부담감은 죄책감의 4가지요인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부양자가 수발도움을 요청할 때, 동거가족과 이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며, 죄책감이 적을 경우에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특히 주부양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죄책감요인은 동거가족에게는 규범적인요인, 이웃에게는 자원결핍요인, 그리고 주간보호서비스이용에서는 소진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발도움 요청에 있어 발생하는 부양자의 역기능적인 감정인 죄책감이 수발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음은 물론 부양자 역할을 분담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부양자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부양자가 가지는 죄책감에 대해 이해하고 대응하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