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Urban Drainage System

도시유역 내배수시설 유지관리시스템

  • 이정호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 주진걸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응석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Sewer rehabilitation is performed to improve the problem for urban drainage sewer system recently. However the data for the sewer system is not stored enough so that the sewer system is difficult to be manag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urban drainage system is developed to store the data efficiently and manage the system systematically. In the developed system, a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module is included to test the carrying capacity of a sewer pipe and estimate the amou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 The I/I and superannuation evaluation module is included in this system. The module distribute the total inflow/infiltration observed at the several sampling points in a drainage area to the individual pipes of the entire sewer system. Then the superannuation of a sewer pipe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I of the pipe. And in the developed system, the optimal rehabilitation priority module is included to determine the optimal priority and support the decision making for the sewer rehabilitation.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tructed by the association with the developed modules and the system is formed as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최근 국내에서는 도시지역 내배수시스템에 대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비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설물에 대한 자료의 구축이 부족하며 정비사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정비사업 시행 및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배수시설에 대한 자료의 효율적 저장과 합리적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도시유역 내배수시설 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수리 수문 해석 모듈을 이용하여 통수능 검토에 따른 우수배제 목적의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고 우수토실에서의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발생량을 추정하며, 현재 표본지역의 중요지점에서만 관측되는 불명수에 대하여 관거별로 불명수를 배분하여 관거별 노후도를 평가하는 I/I분석 및 노후도 평가 모듈, 개량사업의 최적 우선순위의 결정 및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하여 수리 수문 해석 모듈과 노후도 평가모듈이 연계된 최적 개 보수 우선순위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최적개량 의사결정이 가능한 종합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은 사용자 화면 구성 형태로 개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응석, 이정호, 김중훈 (2003)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한 하수관거 결함항목별 가중치 산정. 대한상하수도학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 제17권, 제2호, pp. 277-290
  2. 김태진 (2002) 불명수를 고려한 하수관거 최적개량 의사결정 시스템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 이정호 (2002) 도시유출 해석과 불명수 산정 모형을 통한 하수관거 최적개량 시스템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 이정호, 김중훈, 김형수, 조덕준, 김응석 (2004a) 최적 도시유출시스템의 개발:I.도시유출시스템에서의 AHP를 고려한 불명수량 산정에 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195-206
  5. 이정호, 김중훈, 김형수, 조덕준, 김응석 (2004b) 최적 도시유출시스템의 개발: II.도시유역의 최적유출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의사결정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207-217
  6. 이창용 (1999) Optimal Cost Design of Stormwater Drainage System using Genetic Algorithm,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 35-61
  7. 정철권, 박규홍, 정연규 (2001) 유전자알고리즘에 의한 소규모 배수유역 하수관거 정비의 최적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2호, pp. 295-304
  8. Belhadj, N., Joannis, C., and Raimbault, G. (1995) Modelling of Rainfall Induced Infiltration into Separate Sewerage. Water Science and Technoloy, Pergamon, Vol. 32, No. 1, pp. 161-168
  9. deMonsabert et al (1997) A Benders decomposition model for sewer rehabilitation planning for infiltration and inflow planning. Water Environment Research, The Federation, Vol. 69, pp. 162- 167 https://doi.org/10.2175/106143097X125317
  10. Thomas L. Saaty (1994) Highlights and critical points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North-Holland Pub. Co, Vol. 74, pp. 426-447 https://doi.org/10.1016/0377-2217(94)90222-4
  11. Vargas L.G. (1990) An overview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its ap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North-Holland Pub. Co, Vol. 48, pp. 2-8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6-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