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nd Implications on Volunteer Activity System of Disaster Relief

재난구호 자원봉사활동체계 실태분석 및 정책적 함의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make clear the volunteer activity system through analysing activity of volunteers. Main suggestions are as below. In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cooperating system, improvement of delivering system of relief goods and developing operating manual of volunteering management are discussed. In education system, specialized education for different disaster areas, field orien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ial positions are suggested. In supporting system, improving NDMS(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mputerized program for volunteer management, insurance for volunteers, issuing a confirma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securement of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budget for prevention and donation are also suggested.

자원봉사자 활동을 분석하여 자원봉사활동체계를 정비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는데, 주요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관리체계에서는 민관산학의 통합적 협력체계, 구호품관리체계 개선, 봉사활동 운영 매뉴얼 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교육체계에서는 재난분야별 전문교육, 현장 오리엔테이션교육, 자원봉사자관리자 양성교육 등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지원체계에 대해서는 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 봉사자관리전산프로그램, 봉사자 상해보험, 봉사활동 시간확인서 발급, 봉사활동 행정지원, 비상통신체계 확보 그리고 예방 예산 및 의연금 등에 대한 개선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석 (2007) 지방자치단체의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자원봉사 단체의 역할. 국제 위기관리 학술회의 논문자료집, 전국재해구호협회.희망제작소 재난관리연구소.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3.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2006) 미국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와 대책.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4. 국립방재연구소 (2001) 방재훈련 프로그램 개발.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5. 김경남 (2007)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6. 남기철 (2007) 자원봉사론. 나남출판
  7. 대한적십자사 (2007) 2007년도 구호사업 종합계획서. 대한적십자사
  8. 류기형 외 (1999) 자원봉사론. 양서원
  9. 류충 (2005) 재난관리론. 한성문화
  10. 박상필 (2005) NGO학. 아르케
  11. 성기환 (2006) 재난관리와 파트너쉽. 한국학술정보(주)
  12. 소방방재청 (2004) 지역자율방재기능 강화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13. 송경재 (2004) 사회적 자본과 네트워크. 사회이론. 한국사회이론학회, 제25권
  14. 신은성 (2003) 국가재난관리 효율제고를 위한 자율방재체제 구축과 발전방안. 방재연구, 국립방재연구소, 제5권, 제3호
  15. 양기근 (2007) 재난자원봉사활동의 효율화 방안. 강원광장(5/6), pp. 18-25
  16. 여명길, 전규엽, 박경현, 홍원화 (2003) 대구지하철 화재 조사분석 (4): 재난복구를 위한 자원봉사 활동 및 지원체계의 특성.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2호, pp. 889-892
  17. 이상팔 (1996) 위기관리체계의 지능적 실패에 의한 학습효과 분석: 삼풍백화점 사고 전.후의 제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0권, 제2호, pp. 113-127
  18. 이성록 (2003) 자원봉사매니지먼트. 지식과 경영
  19. 이성록 (2005) 전국자원봉사센터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행정자치부
  20. 이은애 (2008) 민럭¸ 활동 분담, 풀어야 할 과제. 재난포커스, (주)재난포커스, 6월호
  21. 이재은 외 (2006) 재난관리론. 대영문화사
  22. 이재은, 양기근 (2004) 재난관리의 효과성 제고방안 :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2004년도 국제학술대회 및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3. 이점동 (2005) 한국의용소방대 운영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4. 전국재해구호협회 (2004) 재해구호 활동에 관한 실태조사 보고서. 전국재해구호협회
  25. 파주시자원봉사단체협의회.파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 (2003) 자원 봉사관계자 워크샵. 파주시자원봉사단체협의회.파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
  26.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자원봉사프로그램 백과.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7. 한국언론연구원 (1995) 일본의 위기대응 체제와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연구원
  28. 한국자원봉사포럼 (2002) 수해 복구 자원봉사 평가와 미래과제. 한국자원봉사포럼
  29. 한동우 (2007) 재난관리 자원봉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연구. 국제 위기관리 학술회의 논문자료집, 전국재해구호협회
  30. 희망제작소 재난관리연구소.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31. 牧秀一 (2001) 被災地.神に生きる人びと. 岩波書店
  32. 三船康道 (1998) 防災と市民ネツトワク. 學藝出版社
  33. 京都市野田隆 (1997) 災害と社會システム. 恒星社厚生閣, 東京都
  34. 靑田良介 (2004) 匕ュマンパワを取り入れた地域防災システムの構築にする硏究. 神戶大學博士論文
  35. Perry, Ronald W. (1985)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Evacuation Threatened Populations, Greenwich, CT:JAI Press Inc.
  36. Robert D. Putnam (1995) Bowling Alone :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Larry Diamond & Marc F. Plattner(엮음) The Global Resurgence of Democracy (Baltimore and London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pp. 290-303
  37. Tierney K.J. (1985) Emergency medical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disaster: the need for interorganizational coordination, In Petak W.J.: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 Rev 45(Special Issue) : 77 https://doi.org/10.2307/3135001
  38. Wright JE (1977) The prevalence and effectiveness of centrslized medical responses to mass casualty disasters, Mass Emerg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