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전통 녹색 석채로 사용된 "뇌록"의 특성연구

  • Do, Jin-Young (School of Cultural Assets, Gyeongju University) ;
  • Lee, Sang-Jin (School of Cultural Assets, Gyeongju University) ;
  • Kim, Soo-Jin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n, Yun-Kyung (School of Cultural Assets, Gyeongju University) ;
  • Ahn, Byung-Chan (School of Cultural Assets, Gyeongju University)
  • 도진영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 이상진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 김수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윤윤경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 안병찬 (경주대학교 문화재학부)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Noerog", 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occurs as veins or cavity-filings in the basaltic pyroclastic rocks of Quaternary Epoch in Mt. Noeseong in Janggi-myeon, Pohang. The "Noerog stone" mainly consists of celadonite with minor chlorite/smectite, mordenite and opal. Celadonite grains are several hundreds to several tens of ${\mu}m$ in size. The particle sizes under several tens of fm are likely to coagulate to aggregates. The coloring rate increases rapidly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under $71{\mu}m$. The hiding power is maximum in the particle sizes of $0.2\sim0.3{\mu}m$. The resistance properties of the Noerog to both the light and the bacteria are absolutely superior to ordinary chemical pigments. The transparency of the Noerog is maximum in the nano-powders under 200 nm. Examination of the color of the Noerog pigment which has been prepared by traditional technique for "dancheong" shows that the best coloring effect is found in the particle sizes under $32{\mu}m$ and that the painting was not successful for the Noerog of particle size over $32{\mu}m$.

조선시대에 녹색 광물 안료로 사용되었던 "뇌록(磊綠)"은 경북 포항시 장기면 뇌성산에서 제 4기 현무암질 화산쇄설암 내에 맥상 또는 공극충진상으로 산출되며, 주 구성광물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로 소량의 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광물과 모데나이트 및 단백석을 함유한다. 뇌록의 원석인 뇌록석은 주로 수백 ${\mu}m\sim$수십 ${\mu}m$ 크기의 미세한 셀라도나이트라는 일종의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 ${\mu}m$ 이하의 작은 입자들은 응집현상을 보여준다. 입자크기가 $71{\mu}m$ 이하로 감소하면서 그 착색율은 월등히 증가하였다. 은폐력은 입자 크기가 $0.2\sim0.3{\mu}m$일 경우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초미분인 200 nm 이하에서 투명도가 최대값을 보였다. 내광성과 항균성은 일반안료와 비교했을 때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다. 현존 단청 기술을 접목한 전색제 채색 실험 결과 $32{\mu}m$ 이하의 입도에서 가장 양호한 도색효과를 보여주고, 이상의 입도에서는 도색이 불가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응성, 최주 주역 (1997) 천공개물. 전통문화사. 서울, 600p
  2.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서울, 514p
  3. 배광현, 손정수, 박제신, 안기오 (2002) 카리장석을 이 용한 기능성 안료제조 기술 연구, 연구보고서, 산업 자원부
  4. 안병찬 (2003) 高句麗 古墳壁畵의 製作技法 硏究-바 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高句麗 壁畵의 世界 제 9회 국제학술대회발표집
  5. 안병찬, 도진영, 김수진, 이강근, 이상진 (2007) 전통석 채원료의 특성연구를 통한 고기능성 뇌록안료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국립중앙과학관
  6. 유혜선 (2005) 고구려 쌍녕총 벽화의 안료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6, 국립중앙박물관
  7. 이상진, 이강근, 도진영, 김수진, 안병찬 (2007a) 포항 장기 산출 조선시대 뇌록안료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2007 동아시아 문화유산 보존 국제심포지엄 발 표요지집, 231-232
  8. 이상진, 이강근, 김수진, 도진영, 안병찬 (2007b) 조선 시대 뇌록색 단청안료에 관한 연구-포항 보경사 대 적광전 뇌록색 단청안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 2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7-7
  9. Bailey, S.W. (1980) Summary of recommendation of AIPEA Nomenclature Committee. Clay Minerals 15, 85-93 https://doi.org/10.1180/claymin.1980.015.1.07
  10. Buckley, H.A., Beva, J.C., Brown, K.M., Johnson, L.R., and Farmer, V.C. (1978) Glauconite and celadonite: two separate mineral species. Miner. Mag. 42, 373-382 https://doi.org/10.1180/minmag.1978.042.323.08
  11. Chang J.C. and Lange, F.F. (1994) Viscosity and yield stress of alumina slurries containing large concentrations of electrolyte, J. Am. Ceram. Soc., 77(1), 19-26 https://doi.org/10.1111/j.1151-2916.1994.tb06952.x
  12. Foster, M.D. (1969) Studies of celadonite and glauconite. Prof. Pap. U.S. Geol. Survey 614-F
  13. Mora, P., Mora, L., and Philippot, P. (1984)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Butterworths. 250p
  14. Mazzeo R. (2004) Scientific Investigations of the Tokhung-Ri Mural Paintings (408 A.D) of the Koguryo Er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북한 고구려 덕흥리 고분벽화의 과학적 조사, Conservation of Koguryo Tombs 고구려 고분의 보존, 문화재청.UNESCO 공동주최보고서
  15. Newman, A.C.D. (1987) Chemistry of Clay and Clay Minerals. Mineralogical Society, Monograph No.6, pp.480
  16. Reed, J.S. (1989)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Ceramic Processing, Wiley, 486p
  17. Weaver, C.E. and Pollard, L.D. (1975) The Chemistry of Clay Minerals. Elsevier Pub. Co., p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