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Consideration of Sericite Deposits Derived from Granitic Rocks in the Taebaegsan Region

태백산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체 기원 견운모광상의 성인적 고찰

  • Yoo, Jang-Ha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 Chi, Sei-Jeo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Yeongweol sericite deposit of Gangwon Province is regarded as one of the sericite deposits derived from granitic rocks due to post-magmatic alkali metasomatism, and the other sericite deposit of the same origin is the Daehyun mine of Gyungbug Province. Sericite ores were originated from leucocratic granitic stocks of Cambrian-Triassic age which intruded the pegmatitic migmatite of the unknown age and granite of the Pre-cambrian age, respectivcly. Jangsan quartzite of the lowermost formations of the Paleozoic era, which played as the capping rock protected from the leakage of the hydrothermal solution. It is well known that those sericite deposits arc formed during formation of the geosyncline, and they are also situated in the margins of the Hambaeg Syncline. Leucocratic granites commonly contain pegmatites with tourmaline crystals, and are rich in potassium feldspars, and sodium plagioclase as well. Sericitized ores are mainly found as we go up to the higher elevations or to the margins of the stocks. And some of the Highest grade sericite ores show the monominerallic character composed of nearly pure sericite probably doc to the ultra greisenization. Chemical analysis shows higher $Na_{2}O$ and $K_{2}O$ contents $(2.00\sim7.03wt%)$ as the sericitizations arc preceded and they represent obvious greisenization. But low CaO contents $(0.05\sim4.51wt%)$ indicate that albitizations are so weak. Pyrophyllite of the Youngweol area is often accompanied by the sericite, indicating rather stronger thermal effect than the Daehyun mine. It is known that there are several Sn deposits originated from greisenization in the Taebaegsan region. And greisens are inclined to contain W, Mo and several REE's such as Be, Nb and Li, and so Taebaegsan region interbedded with lots of carbonate formations are still worthwhile to survey for those metallic deposits.

강원도 영월 및 경북 봉화의 견운모광상은 화강암질 마그마의 알카리치환작용에 의한 광상으로 추정된다. 견운모광체는 캠브리아-트라이아기에 관입한 안주상의 우백질 화강암체 내에 배태되어 있으며, 이들 암주는 각기 시대미상의 페그마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와 선캠브리아기의 홍제사화강 암류를 관입하고 있다. 고생대 최하부층인 장산규암층은 열수작용 중에 그 방출을 막는 덮개역할을 하였으며, 견운모광상은 태백지향사 형성시에 생성된 함백향사의 남단 및 남동단에 각기 위치한다. 우백질 화강암류는 전기석을 가지는 페마타이트를 흔히 포함하며, 대체적으로 K 및 Na-장석류가 풍부하며, 광체는 암체의 상부 및 가장자리로 가면서 흔히 확인되며, 고품위광체는 거의 순수한 견운모 단일광물로 구성되는 초그라이젠화를 나타내기도 한다. 화학분석에 의하면, $Na_{2}O$$K_{2}O$함량이 $2.00\sim7.03wt%$로서 그라이젠화가 뚜렷하지만 CaO는 $0.05\sim4.51wt%$로서 알비타이트화는 미약하다. 영월 지역은 견운모와 함께 납석이 포함되므로 대현지역에 비하여 열수의 온도 등이 더 높았음을 암시한다. 태백산지역에는 그라이젠형광상으로 석석이 산출되었었고, 광상형성에 유리한 탄산염암의 분포가 넓으므로 중석, 휘수연 등의 감속원소와 함께 Be, Nb, Li 및 희토류원소류 등의 산출이 기대되며 이들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모, 송민섭 (2003) 국내 일라이트-운모의 부존현황 및 자원잠재성. 제 4회 산업 광물 심포지엄 논문집: 일라이트-운모와 그 응용. 산업광물은행, 18-30
  2. 고상모, 유장한, 심현환 (2007) 대현 견운모광상의 지 질학적 부존특성 및 형성환경. 국내 전략광물자원 재평가와 광상탐사 요소기술개발(GP2007-017) 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21-360
  3. 김용준, 이대성 (1983) 석포-덕구간에 분포하는 소위 홍제사화강암의 지질연대와 생성과정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16, 163-221
  4. 김용준, 조등룡, 홍세선 (1986) 울진광산 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알카리화강암에 대한 암석지구화학적 연 구. 광산지질학회지, 19, 123-131
  5. 김종환, 유장한, 박용순, 김용욱 (1984) 비금속광상연 구(83-광물자원-4-13), '대현견운모 광상조사,' 중에 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99-128
  6. 대한지질학회, 태백산지구 지하자원조사단 (1962) 1: 50,000 계산촌도폭
  7. 문상호, 박희인 (1994) 울진지역 석 광화작용에 수반된 화강편마암의 변질. 지질학회지, 30, 125-139
  8. 박희인, 이상만 (1984) 봉화-울진지역의 석, 중석광화 작용. 광산지질학회지, 17, 1-15
  9. 박희인, 장호완, 진명식 (1988) 태백산지역내 광상의 생성연령. 광산지질학회지, 21, 57-67
  10. 오지호, 황진연, 고상모, 곽규원, 이효민, 지세정 (2008) 경북 봉화지역 홍제사 화강암내에 배태하는 견운모광 상의 산상 및 구성광물. 한국광물학회지, 21, 67-84
  11. 윤석규 (1967) 1 : 50,000 장성도폭(Sheet 7025-III)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12. 이대성 (1966) 1 : 50,000 옥동도폭(Sheet 6925-III)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13. Bristow C.M. (1987) World kaolins-genesis, exploration and application. Ind. Miner. 238, 45-59
  14. Evans, A.M. (1986) Ore geology and industrial minerals, an introduction. Blackwell Science, UK. 154 -156
  15. Hatch, F.H., Wells, A.K., and Wells, M.K. (1984) Petrology of the igneous rocks (third edition), CBS Publihers & Distributors, Shahdara, India, 204-256
  16. Rhee, B.Y. and Kim, S.J. (1998) Mineralogcal study of sericite in the Daehyun Mine: Formation, chemistry and polytype. J. Miner. Soc. Korea, 11, 69-84
  17. Smirnov, V.I. (1976) Geology of mineral deposit. Mir Publishers, Moscow, 197-211
  18. Stemprok, M. (1987) Greisenization (a review). Geologische Rundschau, Stuttgart, 76/1, 169-175
  19. Zaraiskii, G.P., Balashov, V.N., Lebedeva, M.I., and Soboleva, Yu. B. (2002) Experimental metasomatic column as a tool for securing of kinetic constants of metasomatic reactions. Herald of the Earth Sciences Department RAS, No.1(20), 1-3. URL: http://www. scgis.ru/russian/cp1251/h_dgggms/1-2002/informbul- htm#term-6.en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