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Currently, Korea is facing dramatic nutrition transition among children, which may increase risk of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excessive intakes of fats, sugars and sodium. Promotion of eating healthier foods among children is difficult because the present nutrition label is not easily understood. Therefore, to promote healthier foods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guidance of standard amounts of high, medium and low levels of sugars, sodium, fats and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foods or drinks that are promoted to or formulated for consumption by children. Multipronged approach was used to col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key word searches in Medline and other databases, internet searches, reports from world organization, and contact of key individuals who work in organizations. We reviewe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nutrient reference values, nutrient content claims of nutrition labeling, guideline daily amounts of United Kingdom, dietary guidelines and consumption data of nutrients, and selected components for labeling. And we decided goals of guideline daily amounts for children and nutrient criteria to underpin the high, medium and low content of each component. Then we collected data on processed foods sold at 12 middle schools and 11 high schools in Seoul, and classified processed foods into food category. Sales per one student per day were in the order of snacks, breads, and non-carbonated drinks. One hundred forty five mostly consumed produc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criteria of high, medium and low total fat or sodium. Eighty five(58.6%) were classified into high fat food and only 11(7.6%) into high sodium food, in case that the base is chosen per 100 g or 100 mL. In conclusion, the nutrient criteria and choice of 100 g base, which we suggest in this study, need to be tested by simulation with more processed foods and refined in view of the practical issues suggested by stakeholders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