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mpact Analysis of the Korea-Japan Undersea Tunnel Project;focus on Economic Potential Model Analysis

한일간 해저터널사업의 효과분석;성장잠재력 분석을 중심으로

  • Park, Jin-Hee (Dept. of Logistics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박진희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8.03.01

Abstract

With rapid growing of the Northeastern Asia, the interest for the connection of Infrastructure that was behind of interesting until now is getting larger. In a line of same connection, UN-ESCAP are forwarding transcontinental railway project, asian highway project et al.. And this study aimed at analysis on the effect that extended to a space by Korea-Japan undersea tunnel project. In aspect of a national land balanced-developm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overcrowding in capital region, unbalanced state by regions, weak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weakness of national land basis to prepare for unification et al., this study consulted the economic potentiality model as a analysis method to examine an effect. In this analysis, I used 24 scenarios including all cases by combination of 3 scenarios for Korea-Japan undersea tunnel, 4 scenarios for transportation modes in the section of undersea tunnel, and 2 scenarios for adjacency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modes in the section of undersea tunnel are railway, car-train, mixing way of railway and car-train, and mixing way of road and railway. Adjacency infrastructure applied railway and road. In all scenarios, Korea showed higher growth potentiality than Japan. Also, proposal plan C route relatively showed better in national land balanced-development than other proposal plans. The growth potentiality relatively appeared higher by buildup of a connection together with non-capital regions from the construction of Korea-Japan undersea tunnel. In aspect of Northeastern Asia, it resulted in a increasing of trade and chance of network formation in the region of Asia through infrastructure connection. But, in considering passenger and various factors that extended to the economic growth, this analysis have some limitation. Therefore, I hope that deep studies will continuously perform with various factors.

동북아가 급성장하기 시작하면서 단절된 인프라 연계에 대한 관심이 계속 커져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UN-ESCAP은 대륙횡단철도와 아시안 하이웨이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심의 연결선상에서 논의되고 있는 한일간 해저터널 사업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 과밀이나 지역간 불균형 심화, 남북교류 및 통일에 대비한 국토기반의 취약 등의 문제를 해소코자 하는 국토균형 개발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성장잠재력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구상된 시나리오는 24개로 이는 한일간 해저터널 검토대안 3, 해저터널 구간 내 운송교통수단 4, 인접 인프라 2를 조합한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이때 해저터널 구간 내 검토가능 운송형태는 철도 전용방식, 카트레인 전용방식, 철도${\pm}$카트레인 혼용방식, 도로${\pm}$철도 혼용방식이며 인접 인프라는 철도와 도로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어떠한 시나리오이든 일본보다 한국이 높은 성장잠재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검토대안 C노선이 타 검토대안보다 상대적으로 국토의 균형발전에 더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저터널 연결 시 비수도권 지역의 연계가 강화되어 성장잠재력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북아차원에서도 인프라 연계를 통해 아시아권내 긴밀한 네트워크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역의 증대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분석은 여객의 고려가 적고, 경제성장에 영향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까지 고려한 심도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도출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동회 외(2002), "남북철도 시스템 연계방안 연구(제2차년도 연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 국토연구원(2004), "공간분석기법", 한울 아카데미
  3. 국토연구원(2004), "신행정수도건설의 추진방향", p.17
  4. 권영인 외(2005), "북한의 도로체계 분석 및 수치지도 작성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5. 박무환 외(2002), "국민연금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 연구센터
  6. 박종택 외(2001), "GIS사업의 효과측정기법 및 적용연구", 국토연구원
  7. 박진희(2004), "일본 환적화물 유치를 통한 부산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8권, 제8호, pp.679-685 https://doi.org/10.5394/KINPR.2004.28.8.679
  8. 박진희(2007), "한일간 해저터널 건설 가정 시 물류경로 변경에 따른 효과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3호, pp.69-76 https://doi.org/10.5394/KINPR.2007.31.3.165
  9. 부경진(2002), "에너지.환경.경제 통합 계량경제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수단의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10. 이영은(2004), "성장관리를 위한 전국 지자체별 성장잠재력 분석", 주택도시, pp.84-101
  11. 이창운(2004), "고속철도시대의 교통체계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2. 이한성(2004), "I-O 모형을 이용한 경제.사회 연계모형의 구상", 밀양대학교 산업경제학과 논문, pp.122-127
  13. 이혼기 외(2003), "Space Syntax를 이용한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교통 Network의 통합도 변화연구", 국토연구원
  14. 임상봉 외(2005),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 구축에 관한연구(I)",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15. 정일호 외(2002), "교통기술혁신이 국토공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고속도로 및 고속철도 건설의 지역파급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16. 정일호 외(2003), "중장기 SOC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p.19
  17. 지해명 외(2003), "MRIO 시산표 작성 지역간 교역계수 추정연구",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18. 최종옥(2001),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제언", 철도웹진, 27호, p.8
  19. 한국교통연구원(2005), "북한의 도로체계 분석 및 수치지도 작성방안연구"
  20. 허재완(1996), "영.불 해저터널의 건설효과 및 한일해저터널 구상에 대한 시사점 분석", 국토계획, 제 31권, 제 5호, pp.299-32
  21. 허재완(1999), "한일해저터널의 국토공간구조 파급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11권, pp.105-115.
  22. 국가교통DB센터(www.ktdb.go.kr)
  23. 일본 Highway Navigator(www.hinavi.jp/route/hinavi.html)
  24. 일본(www.page.sannet.ne.jp/ksenami/sto/mizu/swiml.html#genzai.)
  25. 일본국토지리원(www.gsi.go.jp/)
  26. 일본통계국(www.stat.go.jp)
  27. 일한터널연구회(http://www.jk-tunnel.or.jp/j/1kenkyukai/ index.html).
  28. 중국고속도로(www.china-highway.com/html/names.htm)
  29. 중국통계국(www.stats.gov.cn)
  30. 중국행정구역망(www.xzqh.org/quhua)
  31. 천하통(天下通)(www.txtone.cn)
  32. 통계청 통계정보시스템(kosis.nso.go.kr).
  33. 한국도로공사(www.freeway.co.kr/jsp/cyberway/main.jsp)
  3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bok.or.kr/).
  35. Hay, A., Meredith, K. and Vickerman, R.(2004), "The impact of the channel tunnel on Kent and relationships with Nord-Pas de Calais", Centre for european, regional and transport Economics university of Kent, pp.41-78
  36. Clark, C., Wilson, F., and Bradley, J.(1969), "Industrial Location and Economic Potential in Western Europe", Regional Studies no.3, pp.197-212 https://doi.org/10.1080/09595236900185201
  37. Smith, D. M. and Gibb, R.(1993), "The Regional Impact of the Channel Tunnel : a Return to Potential Analysis", Geofurum. vol.24, no.2, pp.183-192 https://doi.org/10.1016/0016-7185(93)90032-D
  38. Jeffrey, R. Alwang., etc(2005), "Spatial Analysis of Rural Economic Growth Potential in Guaremala", Latin America and Caribbean Region Sustainable Development Working Paper, no.21, p.10
  39. Keeble, D., Owens, P. and Thompson, C.(1982), "Economic Potential and the Channel Tunnel", Area, no.14, pp.97-103
  40. Nicholas, F. R. C.(2004), "Market Potential in British Regions. 1871-1931",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London School of Economics
  41. Nagy, G.(2005), "Changes in the position of Hungarian regions in the country's economic field of gravity".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