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관절경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제12권3호
- /
- Pages.180-184
- /
- 2008
- /
- 1226-9352(pISSN)
회전근 개 완전파열 환자에서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
Differences in Associated Shoulder lesions Regarding Ages and Gender Among Patients with Complete Rotator Cuff Tear
- 김재화 (포천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단진명 (포천중문의과대학교 구미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윤병호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 ;
- 김영웅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정형외과)
- Kim, Jae-Hwa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Dan, Jin-Myo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umi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Yoon, By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Young-Wo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B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발행 : 2008.10.29
초록
목적: 회전근 개 완전 파열로 관절경적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나이와 성별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회전근 개 완전파열로 수술하였던 109명, 109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59명, 여자 50명이었고 나이는 최소 24세에서 최고 75세로 평균 53.3세였다. 연령대에 따른 분류는 59세 이하의 환자 군과 60세 이상의 환자 군으로 임의로 분류하였고 분석 대상은 견봉 쇄골 관절염, 상부 관절와 순 병변, 상완 이두근 염의 동반 유무를 Khai-square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견봉 쇄골 관절염은 60세 이상의 환자 군에서 59세 이하 군에 비해 높은 동반율을 보였고 상부 관절와 순 병변은 59세 이하의 환자 군, 특히 남자 환자에서 60세 이상의 환자 군에 비해 높은 동반 비율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 및 치료를 함에 있어 연령대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젊은 남자환자에서는 상부 관절와 순 병변, 고령의 환자에서 견봉 쇄골 관절염의 동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겠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associated shoulder lesions on complete rotator cuff tear patients regarding ages and gend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March 2006, 109 patients (59 males, 50 females) who received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for their complete rotator cuff tear were selected and their associated shoulder lesions were analyzed. Ages were between 24 years, the youngest, and 75 years, the oldest. Groups by age were under 59 years group and over 60 years group, and associated lesions of patients to be analyzed were Acromioclavicular arthritis, SLAP(shoulder labrum anterior and posterior) lesion, and biceps tendinitis, and stat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by Khai-square method. Results: For acromioclavicular joint arthritis, over 60 years old group showed higher association rate compared to under 59 years young group, and for SLAP lesions, under 59 years young group showed higher association rate compared to over 60 years old group only in men. Conclus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mplete rotator cuff tear patient, associated shoulder lesions in different ag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associations of SLAP lesions in young male patients, and acromioclavicular joint arthritis in old age patients should be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