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Methods in Korea - Focused on the KAIST's KOASAS -

국내 기관 레포지터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KAIST의 KOASAS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Jae-Min (Academic Information Development Team, Science Library of KAIST) ;
  • Son, Chung-Ki (Academic Information Development Team, Science Library of KAIST) ;
  • Lee, Mi-Young (Academic Information Development Team, Science Library of KAIST)
  • 이재민 (KAIST 과학도서관 학술정보개발팀) ;
  • 손청기 (KAIST 과학도서관 학술정보개발팀) ;
  • 이미영 (KAIST 과학도서관 학술정보개발팀)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Researchers' performances have been evaluated by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journals officially, and academic journals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ince academic societies, publishers, and universities has concentrated on publishing journals. Recently, access and usage of academic information was restricted due to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and sudden rising of prices, and against this situation, OA movement came out arguing that academic information should be open to everyone freely. This article studies the case of KOASAS which is based on DSpace, one of the typical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intends to show up the necessity to construct repositories in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suggest the method to make full use of repositories.

전통적으로 연구자들은 학술지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인정받아 왔으며, 그 이후 학회, 출판사, 대학 등의 단체가 학술지의 출판에 주력함으로서 학술지는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해왔다. 최근 학술정보 유통에서 출판사들의 지나친 가격급등 및 상업화 전략으로 인해 학술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재인 학술정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전제로 오픈 액세스(OA)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오픈 액세스의 가장 핵심적인 실천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기관 레포지터리라고 할 수 있는 DSpace 시스템을 소속 기관의 환경에 맞게 재개발한 KOASAS의 구축 및 운영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대학 및 기관의 레포지터리 구축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미, 이나니. 2005. 대학 학술정보 관리를 위한 오픈 액세스 기반 기관 레포지터리 운영방안 연구. 정보관리연구, 36(2) :45-71. https://doi.org/10.1633/JIM.2005.36.2.045
  2. 박미성. 2005. 오픈 액세스를 위한 저작권관리스시템 사례연구를 통한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255-284.
  3. 신재민. 2008. 오픈 액세스 레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이수상. 2007. 기초학문자료센터 오픈 액세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서울:학술진흥재단.
  5. 이재민. 2005. 오픈 액세스를 위한 학술논문의 저작권 귀속현황과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윤희윤. 2005. 학술정보 유통위기 및 해소전략의 해부. 정보관리연구, 36(1): 1-32.
  7. 윤희윤, 김신영. 2007. 국내외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57-276.
  8. 정경희. 2007. 비영리 학술저작물의 저작권 정책과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4(4): 97-117.
  9. 황옥경. 2005. 국내 도서관에서의 자유이용 (Open Access) 학술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2(2): 253-273.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253
  10. 황혜경, 김혜선, 최선희. 2004. 오픈 액세스기반 지식정보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5(1): 91-116.
  11. Antelman, Kristin. 2004. “Do Open-Access Articles Have a Greater Research Impac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5(5): 372-382. https://doi.org/10.5860/crl.65.5.372
  12. Case, Mary M., and Matz, Judity. 2003. Framing the Issue : Open Access. ARL 226 (February).
  13. Lynch, Clifford A. 2003. Institutional Repositories: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Scholarship in the Digital Age, ARL Bimonthly Report.
  14. Willinsky, John. 2003. “The Nine Flavours of Open Access Scholarly Publishing.” Journal of Postgraduate Medicine, 49(3): 263-267.
  15. Dspace Homepage. 2008. [cited 2008.4.6]. .
  16. OAI(Open Archives Initiative) Homepage. 2008. [cited 2008.5.4]. .
  17. Open DOAR Homepage. 2008. [cited 2008. 4.27]. .
  18. ROAR Homepage. 2008. [cited 2008.04.30]. .
  19. SHERPA Homepage. 2008. [cited 2008.4.10]. .

Cited by

  1. The challenges of open access for Korea's national repositories vol.38, pp.4, 2010, https://doi.org/10.1108/02641611011094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