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을 가진 환아의 치험례

DENTIGEROUS CYST OF A MAXILLARY MESIODENS: CASE REPORTS

  • 이인영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태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Lee, I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Wa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8.29

초록

함치성 낭종은 치근단 낭 다음으로 가장 흔한 치원성 낭종으로 치관완성 후, 미맹출된 치아의 법랑질과 퇴축 법랑 상피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함치성 낭종의 약 95%는 영구 치열에서 발생하지만, 과잉치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은 그 발생이 드물어, 전체 함치성 낭종 중 5-6%를 차지한다. 이러한 함치성 낭종은 호발 연령이나 성별의 관점에서 보면, 일반적인 함치성 낭종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다. 과잉치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의 대부분이 상악 정중 과잉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합병증은 상악 정중 과잉치의 합병증과 유사한데, 인접 영구치의 맹출 장애, 치근 흡수, 전위, 회전과 정중이개, 인접 치아에 의한 낭종의 이차적 감염 등이 있다. 상악 정중 과잉치에서 발생한 함치성 낭종의 치료법으로는 과잉치와 과잉치를 둘러싼 낭종을 함께 적출하는 방법과 낭종이 정상 치아와 근접한 경우, 과잉치를 제거한 뒤, 조대술을 통해 낭종의 크기를 감소시킨 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과잉치와 낭종 적출 후, 변위된 인접 치아의 자발적 맹출 및 맹출 경로 변화가 관찰되기도 하나, 만약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변위된 치아의 교정적 견인 및 부가적인 교정적 처치가 필요하다. 함치성 낭종과 과잉치 각각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졌으나, 이 두 발육 장애가 연관된 증례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와 초기 혼합 치열기 아동에서 상악 정중 과잉치에 함치성 낭종이 관찰되어 과잉치와 낭종의 제거 후, 정기적 검진시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Dentigerous cyst is the most common type of odontogenic cyst followed by radicular cyst. Most of dentigerous cysts originate from the permanent dentition and a few of them are associated with mesiodens. The complications of a dentigerous cyst associated with mesiodens are eruption abnomalies of adjacent teeth, root resorption, displacement, rotation, diastema and the secondary infection of the cyst due to adjacent teeth. The treatment of a dentigerous cyst of a maxillary mesiodens is to enucleate a cyst with a mesiodens. Otherwise, when it is close to adjacent teeth, a cyst is to reduce the through marsupialization after removing a mesiodens.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dentigerous cysts and mesiodentes alone; however, the studies on the association of the two are rare. These are case reports about patients with mixed dentition whose dentigerous cyst of a maxillary mesiodens had been removed. After removal, the patients have been regularly checked up and shown satisfactory prog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Azza B, Shteyer A : Dentigerous cysts associated with second mandibular bicuspid in children : report of five cases. ASDC J Dent Child, 40:29-31, 1973.
  2. Thoma KH : Cyst of the jaws : Saving involved vital teeth by tube drainage. J Oral Surg, 5:1-9, 1947.
  3. Grover SB, Singh P, Venkatachalam VP, et al. : Mesiodens presenting as a denigerous cyst: Case report. Indian J Radiol Imag, 15:69-72, 2005. https://doi.org/10.4103/0971-3026.28749
  4. 유재화, 윤중호 : 함치성 낭종의 임상 및 병리 조직학적 연구. 대한구강외과학회지, 8:79-80, 1982.
  5. Cabrini RL, Barros RE, Albano H : Cysts of the jaws: a stastical analysis. J Oral Surgery, 28:485-489, 1970.
  6. Radden BG, Reade PC : Odontogenic cysts: A review and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368 odontogenic cysts. Aust Dent J, 18(4):218-25, 1973. https://doi.org/10.1111/j.1834-7819.1973.tb03470.x
  7. Benrick S : Dentigerous cysts of the jaw. Oral Surg, 2:914-921, 1949. https://doi.org/10.1016/0030-4220(49)90234-0
  8. Mourshed F : A roentogenographic study of dentigerous cysts. Oral Surg, 18:466-473, 1964. https://doi.org/10.1016/0030-4220(64)90392-5
  9. Ries Centeno GA : Dentigerous cysts. J Oral Surg, 2:44-57, 1944.
  10. Stafne CE : Supernumerary teeth. Dental Cosmos, 74:653-659, 1932.
  11. Bolk L : Supernumeray teeth in the molar region in man. Dental Cosmos, 56:151, 1914.
  12. Thoma KH : Oral Pathology 2nd Ed. Mosby, 203-205, 1944.
  13. Bordin I, Julin P, Thomsson M : Hyperdontia II. Supernumerary molars. Dentomaxillofac Radiol, 10:35-42, 1978.
  14. 최병재, 장석철, 김성오 등 : 상악 전방부 과잉치의 병발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0(3):515-518, 2003.
  15. Lustmann J, Bodner L : Dentigerous cysts associated with supernumeray teeth. Int J Oral Maxillofac Surg, 17:100-102, 1988. https://doi.org/10.1016/S0901-5027(88)80159-0
  16. Abrams RA, Nelson DL : Fusion of a third molar to a supernumerary tooth with an associated dentigerous cyst. Aust Dent J, 24:141-142, 1979. https://doi.org/10.1111/j.1834-7819.1979.tb02411.x
  17. Ames M : Mesiodens with an associated dentigerous cyst. N Y state Dent J, 30:395-396, 1964.
  18. 안병준, 장충현, 이두형 : 소아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0(3):597-602, 1993.
  19. Carlo C, Giliana Z, Roberto B, et al. : Simplified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f a dentigerous cyst. J Clin Ortho, 28(2):103-106, 1994.
  20. Russell AY : Conservative management of bone cysts in children and adults. J Am Dent Assoc, 23:1719-1725, 1936.
  21. 이충국, 양성익, 심현구 : 조대술과 낭종 적출술을 이용한 치성낭종의 치험예.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11:58-66, 1985.
  22. James H, Leon FF : Dentigerous cyst with mutal ameloblastoma. J Oral Surgery, 27:662-664, 1969.
  23. Stanley HR, Diehl DL : Ameloblastoma potential of follicular cys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0:260-8, 1965. https://doi.org/10.1016/0030-4220(65)90200-8
  24. 이윤석, 김정욱, 이상훈 : 상악정중부 과잉치의 양태와 병발증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6:275-18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