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맞춤형 고혈압 사후관리 모형 개발

A Development of a Tailored Follow up Management Model Using the Data Mining Technique on Hypertension

  • 박일수 (국민건강보험공단) ;
  • 용왕식 (국민건강보험공단) ;
  • 김유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평가지원센터) ;
  • 강성홍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한준태 (국민건강보험공단)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데이터, 자격 및 보험료 그리고 진료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혈압 관리를 위한 맞춤형 고혈압 사후관리모형(고혈압 진료예측모형 및 고혈압 진료순응도세분화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 개발에는 데이터마이닝의 로지스틱 회귀모형, 의사결정나무 그리고 앙상블 모형을 활용하였다. 고혈압 진료예측모형에서는 3가지 모형 중 로지스틱 회귀모형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채택되었으며, 고혈압 진료순응도세분화모형은 의사결정나무모형을 통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수년간 축적된 자료를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함으로써 고혈압의 진료 및 진료순응도에 이르는 고혈압 사후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고혈압 사후관리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u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algorithms to develop tailored hypertension follow up management model - hypertension care predictive model and hypertension care compliance segmentation model - for hypertension management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atabase(the insureds’ screening and health care benefit data). This study validated the predictive power of data mining algorithms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and ensemble technique. On the basis of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l performance of logistic regression method was the best among the above three techniques on hypertension care predictive model and hypertension care compliance segmentation model was developed by Decision tree analysis. This study produced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outbreak of hypertension using screening. It is considered to be a contributing factor towards the nation’s building of a Hypertension follow up Management System in the near future by bringing forth representative results on the rise and care of hyperten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7). <2006 건강보험통계연보>
  2. 김영식 (2001). <한국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발병요인 규명을 위한 코호트 연구>,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보고서
  3. 용왕식, 박일수, 강성홍, 김원중, 김공현, 김광기, 박노례 (2006). 고혈압 발생 예측 모형 개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3, 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