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eath, the level of death anxiety, and the aspect of death anxiety that the aged have. For this, a quantitative research subjecting 532 of the aged living in local area, Jeollabuk-do was carried out. And among those 532 questionnaires, 10 were subjected for depth interview.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 from this study. First, the meaning of death for the aged is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as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meaning. Among these, there were far greater numbers of the aged who put neutral or negative meanings on their death than the positive one. Second, death anxiety of the aged a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annihilation anxiety', 'process anxiety', and 'afterdeath anxiety'. The factor that involves death anxiety the most was process anxiety, then afterdeath anxiety, and annihilation anxiety, in the order. Thir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feature of death anxiety in the aged into the symptoms of death anxiety and the motive of recognizing death anxiety. Death anxiety is classified into the people with symptoms and those without symptoms, and those with certain symptoms are classified into the physical symptoms and the mental symptoms. The motive of recognizing death anxiety appeared when the individual is aged, experiences the death of other people, suffers physical pains, and when there is a mental loneliness.

Keywords

References

  1. 김귀분(1978).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대복(1992). 노인에게 있어서 삶의 의미와 죽음의 불안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미(2002).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에 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실(2004).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석사학위논문.
  5. 김은진(2007). 입원노인의 죽음불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전공. 석사학위논문.
  6. 김태현(1994). 노년학. 교문사
  7. 노현정, 조은영, 전경숙, 전태연(2006). 한국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2006 한국심리학회 포스터발표논문, 294-295.
  8. 박은경(1995). 죽음불안 측정 도구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9. 박재현(1990). 입원한 노인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죽음에 대한 공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보건복지부(2006). 보건복지백서.
  11. 서혜경(1987). 한미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노년학 7권 39-61.
  12. 신은영 유시순(2005). 노인의 건강신념에 따른 죽음불안. 노인복지연구 29(가을), 309-330.
  13. 심민경(2001). 노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오미나(2002).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가족학전공. 박사학위논문.
  15. 유희옥(2004). 중노년기의 죽음 불안태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족문화소비자학과 박사학위논문.
  16. 이동훈(2005). 노인의 죽음 불안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예종(2005). 노인의 죽음 준비인식과 죽음불안에 관한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지영.이가옥(2004).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제24권 2호. 193-215.
  19. 장호익(2007). 노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 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영기(2000).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명옥(1997). 노인이 인식한 죽음의 의미와 준비에 관한 문화 기술적 탐색 사례 연구. 한국노년학 17(3), 1-35.
  22. 최소영(2006). 노인의 죽음 준비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신덕(1985). 노년사회학. 경문사.
  24. 홍숙자(2001). 노년학개론. 하우.
  25. Michael, A.S.(1979).Dying: facing thed facts-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ying. New York: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26. Morse, D.R.(1998).Confronting existential anxiety: The ultimate stressor. Stress Medicine 14, 109-119. https://doi.org/10.1002/(SICI)1099-1700(199804)14:2<109::AID-SMI767>3.0.CO;2-0
  27. Tagaya,A., Okuno, S.,Tamora, M.,& Davis,A.J.(2000). Social support and end-of-life issues for small town Japanese elderl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3), 131-137.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0.00049.x
  28. White & Handal(1990-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ntal health/distress. 장휘숙(2000). 애착과 죽음불안 및 관련 변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3(1). 127-143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