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그리기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cience Activities using Drawing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attitudes

  • 발행 : 2008.08.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using drawing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 total of 40 young children at age 5 from two classes in G and C child care center which located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activities using draw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perseverance', 'creative', 'critical', and 'volunteering'. Second, experimental group which conducted the science activities using draw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sub-factors of scientific attitudes, 'observing', 'measuring', and 'discussion'. Therefor, it might be concluded that science activities using drawing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young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례(1993).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와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성취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11(2), 24-43.
  2. 권지연(2000). 유아 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순휘(1999). 문학적 접근에 의한 통합적 과학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정(2002).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수향(2004).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정원(2003). 문학을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4(6), 95-115
  7. 김정원, 김영숙(2006).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435-457.
  8. 김효남.정완호.정진우(1998). 연구논문: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9. 교육부(2007). 유치원 7차 교육과정. 자료검색일 2008. 4. 15. 자료출처 http://www.mest.go.kr/
  10. 류진희(2000).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실습과 교육활동. 양서원.
  11. 문은자(2000). 소집단 과학 활동의 전개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두란(2000). 과학동화가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손용자(2000). 문학적 접근방법이 유아의 과학 활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승순화.김덕건(2003). 과학활동에서의 프로젝트 접근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24.
  15. 신인숙.노현희(2005). 탐구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129-158.
  16. 안경숙(2003). 유아과학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유경숙(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이경민(2000).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경우.이정환(1997).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0. 이순덕(2004). 동화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화.배소정(2003). 문학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61-83.
  22. 임갑빈.박영란(2007). 생태유아교육 탐구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25-165.
  23. 장경혜(1995). 탐구학습 중심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선혜(2003). 유아과학탐구능력 수행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25. 지성애(2001). 미술교수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1), 177-201.
  26. 최은경(2001). 문학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 및 과학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황윤세(2007). 학습주기를 활용한 그림책 통합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7(3), 273-3000.
  28. Abruscato, J.(2000) Teaching dhildren science: a discovery approach. Boston: Allyn & Bacon.
  29. Brooks, M.(2008). 제2회 유아학습을 위한 그리기(Drawing to learn). 2단계 BK21 사업 국제워크숍.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영유아교육 인력양성연구팀.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2008.
  30. Femandez, T. S.(1994). Interactive teaching: can it surviving i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aper, 18-39.
  31. Forman, G. T.(1990). Representation and cognitive change in young children.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Boston.
  32. Forman, G. T.(1993). The constructivists perspective to early education. In J. L. Roopnarine J. E. Johnson(2nd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37-155. Lawrence Erlbarum Associates.
  33. Kamii, C. & DeVries, R. (1993).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New Yock: Teachers College Press.
  34. Kauchak, D., & Eggen, P.(1989). Exploring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Boton Allyn & Bacon.
  35. Kuehn(1998). "Inventing: Creative Science". Young Children, 65(1), 5-7.
  36. Lind, K. K.(1996).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Delmar.
  37. Lind, K. K.(2000).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elmar.
  38. Martin, D. J.(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New York; Delmar.
  39. Martin, D. J.(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ew York; Delmar.
  40. Raffini(1996). Ways to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in the classroom. Longwood Division: Allen and Bacon.
  41. Schirrmacher, R.(2006).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Fifth Edition. Thomson Delmar Learning.
  42. Seefeldt, C.(1987).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43. Waite-Stupiansky, S.(1997). Building understanding togethe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el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