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ension Stability by Bonding Layers of Glulam

집성재의 접착층수에 따른 치수안정성

  • Hwang, Kweonhwan (Division of Wood Engineering,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o-Saeng (Division of Wood Engineering,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황권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박주생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Received : 2008.09.04
  • Accepted : 2008.10.06
  • Published : 2008.11.25

Abstract

The shrinkage of wood members after construction has been a greater and common concern in wooden buildings with the durability. Particularly, the traditional structure applying solid members actively is easily exposed to the shrinkage that caused by the joints, members, and walls. Moreover, even though domestic larch glulam members are widespread recently in the post-beam construction, the shrinkage (swelling) problem is still the critical defect on the wooden structures by the moisture content change in Korea. Various moisture contents were applied for the specimens to survey the dimensional changes for Japanese larch solid and glulam specimens, and the glulam specimens varied in the number of their laminations. Test results showed that glulam specimens with over 3 bonding layers showed good dimension stabilities. Therefore, to solve the shrinkage problem, sufficient drying fitted to the end-use service condition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olid or glulam members can be applied.

내구성과 관련하여 구조부재의 수축문제가 목구조에서는 커다란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목재 소재를 적극 활용하는 전통공법에서는 짜맞춤 부위, 부재와 벽 등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갈라짐 등의 결함이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기둥-보 공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국내산 낙엽송 집성재의 이용에 있어서도 함수율변화로 인한 수축과 팽윤에 대한 검토를 행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낙엽송 소재와 접착층수를 달리한 낙엽송 집성재의 시험편에 대해 다양한 함수율상태에서의 치수변화율을 살펴보았다. 건조수축에 의한 치수변화 억제효과는 3층 이상의 접착층을 가지는 시험편에서 그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소재를 사용할 경우 최종사용조건에 맞추어 건조를 충분히 행하거나, 구조부재로 집성재를 이용함으로써 건조수축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건축학회. 2005. 건축구조설계기준 및 해설.
  2. 변희섭, 이원희, 박병수, 정성호, 강호양. 2008. 국산재의 응용물성연구II : 잣나무 낙엽송의 수분흡착성 및 열적.전기적.음향적 성질. 목재공학 36(4): 1-10.
  3. 이필우 외 9인. 1981. 목재공학. 향문사.
  4.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연구자료 제95호.
  5. 한국표준협회. 2001a. 목재의 밀도 및 비중 측정 방법. KS F 2198.
  6. 한국표준협회. 2001b. 목재의 함수율 측정 방법. KS F 2199.
  7. 한국표준협회. 2002. 침엽수 구조용재. KS F 3020
  8. 한국표준협회. 2004. 목재의 수축률 시험 방법. KS F 2203.
  9. 황권환, 박문재. 2008. 오에스비에 대한 각종 부재의 못전단성능. 목재공학 36(4): 66-76.
  10. 伏谷賢美 外 8人 共著. 1985. 木材の物理(木材の科学2). 文永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