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Discharge Capacity Testing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의 개발과 적용성

  • Received : 2008.06.09
  • Accepted : 2008.08.04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discharge capacity testing apparatus using penetration method, being able to simulate in laboratory the condition of embedding plastic board drains in field,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and to figure out discharge capacity of drains. The developed apparatus with a mandrel and penetrating device was designed to insert PBD into the ground prepared by previously applied pressure, being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sting method that the drain was installed and the ground material was poured subsequently. Discharge capacity tests with the conventional apparatus as well as the newly developed one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latter. As a result of tests, the conventional method showed delayed consolidation due to overall disturbance of ground and local deformation of drain caused by inhomogeneity of ground. Therefore discharge capacity of drain with the conventional apparatus was measured more or less larger than the expected values whereas discharge capacity with new one could be measured similar to the actual value in field.

본 연구에서는 Plastic Board Drain(PBD)이 타설된 지반의 압밀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배수재 통수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의 타설조건을 실험실에서 모사할 수 있는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험기는 배수재를 타설하고 교란된 시료를 투기하는 기존 방법과 달리, 예비압밀로 시료를 조성한 후 mandrel과 관입장치를 이용하여 PBD를 지반에 타설하도록 고안하였다. 개발된 관입식 복합 통수능 시험기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복합 통수능 시험을 함께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은 시료 전체의 교란에 의해 압밀이 지연되는 현상으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불균질성 등에 의해 배수재 변형도 국부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존 시험법에 의한 통수능력은 예상치 보다 다소 크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입식 방법에 의해 현장조건과 유사하게 통수능력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수(1998) 영향인자를 고려한 연직배수재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 강윤(1996) 연직배수재의 교란영역특성을 고려한 압밀지연특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3. 김동건(2007) 관입식 통수능 시험기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4. 김상규(1998) PBD에 의한 연약지반 개량 개설, A Short Course on Ground Improvement Using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동국대학교 대학원. pp. 3-23
  5. 김서룡(2005) 복합 통수능 시험에 의한 연직배수재 특성,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6. 김찬기(2004) 복합통수능시험에 의한 배수재의 통수 특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진논총, Vol. 11, pp. 85-101
  7. 박만규(2003) 연직배수재의 통수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8. 박영목(1996) 국내 PBD재의 배수성능과 진공효과에 의한 통수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 39-52
  9. 박영목(2003) 멘드렐 관입에 기인하는 스미어 존의 평가,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Vol. 19, No. 6, pp. 217-225
  10. 양상호(2003) 연직배수재의 현장조건을 고려한 통수능력 실험기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1. 이승재(2003) 배수재 설치 방식이 스미어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2. 장제원(2005) 연직배수재 통수능 및 Smear Effect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ASTM D 4716-01 (2001)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plane) flow rate per unit width and hydraulic transmissivity of a geosynthetic using a constant head.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Vol. 04.09-(II), pp. 1054-1062
  14. Bergado, D.T., Alfaro, M.C., and Balasubramaniam, A.S. (1993) Improvement of soft bangkok clay using vertical drain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pp. 615-663
  15. Den Hoedt, G. (1981) Laboratory testing of vertical drains. Proceeding of 10th ICSMFE, Stockholm, Vol. 1, pp. 627-630
  16. Hansbo, S. (1981)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prefabricated drains. Proc.,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tockholm, Vol. 3, pp. 677-682
  17. Holtz, R.D., Jamiolkowisk, M., Lancellotte, R., and Pedroni, S. (1991) Laboratory testing of prefabricated wick drains. GEO-COAST '91 ICGECD, Yokohama, pp. 311-316
  18. Kjellman, M. (1948) Accelerating consolidation of fine grained soils by means of cardboard wicks. Proc. 11th Conf. Soil Mechanics, Rotterdam, No. 2, pp. 302-305
  19. Koerner, C.M. and Lawrence, C.A. (1988) Flow behavior of kinked strip drains. Proc. of ASCE Symposium on Geosynthetics for Soil Improvement, Nashville, Tenn., Geotechinical Special Publication No. 18, pp. 22-35
  20. Kremer, R.H.J., Oostveen, J.P., Van Weele A.F., De Jager, W.F.J., and Meyvogel, I.J. (1983) The quality of vertical drainage. Proc. of the 8th ECSMFE, Vol. 2, pp. 1235-1237
  21. Oostveen, J.P. and Troost, G.H. (1990) Dicharge index tests on vertical drains. Geotextiles, Geomembranes and Related Products, pp. 345-350
  22. Rawes, B.C. (1997) Critical parameters for specification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Geosynthetics International, Vol. 4, No. 1, pp. 51-64 https://doi.org/10.1680/gein.4.0088
  23. Suits, L.D., Gemme, R.L., and Masi, J.J. (1986) Effectiveness of prefabricated drains on laboratory consolidation of remolded soils. Consolidation of Soils : Testing and Evaluation, ASTM, pp. 663-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