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hanges of Street Furniture in Digital Environment

디지털 환경에서 가로시설물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인치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 김현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07.12.05
  • Accepted : 2007.12.21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the street space is also being changed.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and internet give a big change in a human being's lifestyle. And the ubiquitous computing is proceeding with expanding its application range from the indoor space to the street space. As the street furniture is the convenient facility that allows a human being's life in street space to be abundant, it is getting advanced. First of all, in terms of such phenomen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a research on application of street spac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 chang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 the street furniture,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of ubiquitous. Also, it researched into the realities of using the street furniture of the walking-desired streets at Daehac-ro and Hongdae district, where are two representative places related to digital generation. The next was carried out FGI (Focus Group Interview) with users of the street space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and managers of the street furniture, and was researched into the use & management behavior, and recognition level on the street furniture. Thus, the key elements were extracted such as interchange of inform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automation for interaction variability in function. Finally the core elements for future vision of street furniture in this digital era were extracted in 3I, namely, Information, Intellectualization, and Integra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in the process of high-tech digitalization in street furniture related to information hereafter.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 가로 공간도 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와 인터넷은 우리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큰 변화를 주었고,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실내 공간에서 가로 공간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 해 나가고 있다. 가로시설물은 인간의 가로 공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주는 편의 시설로서 첨단화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현상에 관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일반적인가로 시설물 개체 수 변화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세대와 관련된 대표적인 두 곳, 대학로와 홍대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 시설물의 개체 수 및 그 이용실태를 조사 하였다. 다음으로 홍대 앞 가로공간의 사용자와 가로시설물 관리자들과의 표적 집단 면접 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여 가로시설물의 이용 및 관리 행태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정보공유 및 문화적 교류, 자동화 및 상호 작용성, 기능의 가변성등의 핵심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다시 연구 검토하여 3I 요소 즉 정보화(Information), 지능화(Intellectualization), 그리고 통합화(Integration)라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로시설물의 변화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는 향후 첨단 디지털화 하는 정보 관련 가로시설물의 개발 및 디자인 과정의 방향설정에 적용되질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득곤(2008) 도시경관정체성제고를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 방안, 박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대학원
  2. 노무라총합연구소 u-네트워크연구회 역, 하원규 감역(2003) 유비 쿼터스 네트워크와 시장창조, 전자신문사
  3. 마뉴엘 카스텔(2001) 정보도시, 한울 아카데미
  4. 윤봉식, 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48호
  5. 이혁수, 홍관선, 가로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통권 제59호
  6. Nisijawa T., GK 産業硏究所, 外部環境디자인 Street Furniture, pp. 225
  7. Stan Allen 등(1996) 장소와 정거장: 임시유토피아, 루지타니아 출판사
  8. Arnold Reijndorp, Maarten A. Hajer, in search of new public domain, Nai Publishers, 2002
  9. Elizabeth Groz (2001) Architecture from outside: essay on virtual and real space, MIT Press
  10. Kevin Lynch (2000)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1. Matthew Carmina (1999) Public Places-Urban Spaces, Blackdog
  12. Robin Middletown, The idea of the city, architecture association, London &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13. Bernard Cash, Earth moves: the furnishing of territories, translated by Anne Boyman, edited by Michael Speaks,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