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지역 방어침수위 설정방법 비교분석

Comparing Methods for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in Urban Built-up Areas

  • 이양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기반연구본부) ;
  • 신상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기반연구본부) ;
  • 이창희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총량관리센터)
  • 투고 : 2008.01.09
  • 심사 : 2008.03.20
  • 발행 : 2008.05.31

초록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및 건축 측면에서 방어침수위 설정방법으로 과거 침수실적을 적용하는 방법, 인근하천의 기준홍수위를 연장하는 방법, 강우빈도별 시나리오에 의한 내수침수 모의방법(하천 및 소유역 임계지속기간) 등 네 가지 방법을 검토하고, 서울시 중랑천 연변의 장안배수분구를 사례로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인접하천의 기준홍수위를 단순연장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침수원인이 내수침수에 의한 지역일 경우에는 방어침수위로 침수실적자료를 이용한 과거 최대침수위를 적용하거나, 인근하천의 계획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강우사상에 대한 내수침수 모의결과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과거 침수실적자료의 구축이 미비하고 내수침수가 주된 침수원인인 지역에서 인근하천의 기준홍수위를 적용할 경우에는 주의보수위나 경보수위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당해지역의 주된 침수원인이 외수범람(하천월류, 제방붕괴 등)에 의한 지역일 경우에는 인근하천의 계획홍수위를 적용하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각각의 방법에 의해 산정된 방어침수위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방어침수위 이하 건축물의 거실용도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에 대해 경제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방법들이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소유역의 임계지속기간의 내수침수를 모의한 경우 비교적 B/C Ratio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To determine the flood protection elevation (FPE) in urban built-up areas, this study examines four possible methods: using the highest flood elevation in the past, extending base flood elevations of nearby watercourse to inland, and two simulation methods of inland flood under the same rainfall used in the watercourse planning nearb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the Jang-An Drainage Area, Seoul, the highest flood elevation in the past and simulation results of inland flood under the same rainfall in the watercourse planning nearby tend to get similar results, while extending base flood elevations of nearby watercourse to inland shows much higher elevations than other results. Meanwhile, cost-benefit analysis, when regulating residential/commercial uses below the FPE by each of four methods, suggest that planners need to consider carefully the economic feasibility of FPE used to choose appropriate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계현, 김준철(2001) GIS기반의 하수도 관망해석을 통한 침수 피해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 9권, 제3호, pp. 129-143
  2. 김지성, 한건연, 이창희(2006) 도시배수체계와 연계한 내수침수모 형의 개발 및 검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2호, pp. 1013-102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2.1013
  3. 김 철, 김석규(2003) GIS를 이용한 홍수취약지역 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B호, pp. 175-181
  4. 서울특별시(2000) 중랑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5. 서울특별시(2002) 청계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6. 서울특별시(2006)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설정기준 및 관리방안 연 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소방방재청(2005)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
  8. 신상영, 여창건, 백창현, 김윤종(2005)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8권, 제4호, pp. 71-80
  9. 신상영, 이창희, 이양재, 여창건(2007)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도 시건축물의 방어침수위 설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 회, 제27권, 제6B호, pp. 651-659
  10. 안상진, 윤석환, 곽현구(2004) GIS를 이용한 침수구역 예측,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3권 제1호 pp. 175-185
  11. 이길성, 김성은(2007) PCSWMM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에 서의 내수침수의 시공간적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 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4호, pp. 345-357 https://doi.org/10.3741/JKWRA.2007.40.4.345
  12. 이종태(2001) 서울지역의 7월 집중호우특성과 침수피해 조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5호, pp. 78-97
  13. 이창희, 한건연, 김지성(2006)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9권, 제2호, pp. 115-125
  14. 이창희, 한건연, 최규현(2006) SWMM을 연계한 DEM기반의 도시침수 해석 모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5호, pp. 441-45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5.441
  15. 이창희, 한건연(2007) 지하공간 침수해석모형과 연계한 도시침수 해석 통합모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 권, 제4호, pp. 313-324 https://doi.org/10.3741/JKWRA.2007.40.4.313
  16. 정인주, 김상용(2003) Virtual GIS 응용을 위한 지형의 체적 산 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5B호, pp. 389-395
  17. 정종호, 윤용남(2003) 수자원설계실무, 구미서관
  18. 한국수자원학회(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19. 日本 國土交通省(2001) 地下空間における浸水策ガイドライン, 日 本 國土交通省
  20. U.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998) Homeowner's Guide to Retrofitting: Six Ways to Protect Your House from Flooding
  21. U.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3) Guidelines for Benefit-Cost Analysis of Pre-Disaster Mi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