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대도시권 인구집중의 공간적 연관성 연구

Spatial Associati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제인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장훈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지소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07.12.14
  • 심사 : 2007.12.26
  • 발행 : 2008.05.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간통계 및 지리적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연관성의 관점에서 서울대도시권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역적 지수를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05년까지 25년간의 인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의 인구는 매우 강한 정적(+) 공간연관성을 나타내며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각 지역의 인구분포가 주변지역의 인구분포에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이어서 국지적 지수를 이용하여 실제 어떤 지역에 군집이 형성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서울시의 남쪽 및 서쪽, 즉 인천 및 경기지역으로 군집이 이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향후 서울대도시권 관리 및 개발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patial patterns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spatial association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spatial exploratory technique. Our empirical analysis based on global index shows tha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had been distributed with strong positive spatial association over the period of 1980-2005. It implies that the population of each region is affected by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adjacent regions. In addition, the analysis using local index was conducted for detecting the local patterns of spatial association,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clusters of population had been moved in the direction of West(Incheon and Bucheon) and South(Anyang and Seongnam) of Seoul where a large scale of lands or towns were developed over the period. These results will be the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management and development pla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천현숙 외(2002) 수도권 주택건설과 인구집중. 국토연구원
  2. 김광구(2003)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spatial regression)의 활용. 한국행정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pp. 983-1002
  3. 김의준, 변태근(2003) 영남지역 인구 변동의 경쟁 및 보완관계분석.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37권, pp. 35-46
  4. 박기호(2004) 근린가중치행렬이 공간적 자기상관 추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사례로 -. 서울도시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제5권, 제3호, pp. 67-83
  5. 안재성, 이양원, 박기호(2006) 지역분석을 위한 시계열 공간연관성 탐색도구.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4, No. 1, pp. 163-176
  6.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 and Models. Kluwer Academic Publishers
  7.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 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7, pp. 92-115
  8. Anselin, L. (2004) GeoDa 0.9.5i Release Notes. CSIS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Champaign, IL
  9. Geary, R. C. (1954) The contiguity ratio and statistical mapping. Incorporated Statistician, Vol. 5, pp. 115-141 https://doi.org/10.2307/2986645
  10. Griffith, D. A. (1996) Introduction: The Need for Spatial Statistics: Practical Handbook of Spatial Statistics. CRS Press, Boca Ration, FL
  11. Moran, P. (1948)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Vol. 10, pp. 243-251
  12. Lee, J. and Wong, D. W. S. (2001) Statistical Analysis with Arc-View GIS. John Wiley & Sons, Inc
  13. Tsai, Yu-Hsin. (2005) Quantifying urban form: Compactness versus 'Sprawl'. Urban Studies, Vol. 42, No. 1, pp. 141-161 https://doi.org/10.1080/0042098042000309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