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실태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the Betterment Plan in Operating District Units Plan of the City in Busan Metropolitan

  • 김종구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투고 : 2008.07.16
  • 심사 : 2008.08.27
  • 발행 : 2008.09.30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 지구단위계획의 유형을 바탕으로 유형별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여 지구단위계획의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사례대상지의 선정은 유형별로 '기존시가지 정비형' 4개소, '기존시가지 관리형' 3개소를 각각 선정하였으며, 사례대상지를 선정함에 있어서 대상지의 규모와 입지적인 특성을 고려하였다. 사례지대상지 분석결과 제도적 측면에서는 용도지역의 무분별한 상향조절, 미미한 주민참여, 유형화에 대한 문제가 나타났으며, 계획적 측면에서는 기본방향과 목표의 유사성, 밀도계획의 일괄적인 적용, 용도계획에 부적절성, 건축물의 배치 및 형태, 색채계획 등에서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대상지 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지구단위계획의 실효성 개선방안을 고찰해본 결과 제도적 측면에서는 용도지역 변경에 있어 변경 대상 및 범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 설정이 시급하였으며, 계획적 측면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유형 세분화에 따른 차별적인 세부 운영 지침(guideline)을 마련함으로서 지구단위계획의 기본방향과 목표가 각 유형의 목적달성을 위해 설정되도록 해야 하며, 건축물의 적정개발 밀도에 대한 명확하고 논리적인 기준 제시를 통해 건축물의 건폐율(the building-to-land ratio)이나 용적률(floor space index)을 적정하게 산정해야 함과 동시에 지구특성에 맞는 건축용도 분류를 통해 지구별로 특화된 기능을 유도하는 세부적인 건축물 용도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건축물의 획일적인 형태를 지양하고 배치에 있어서도 가능한 개방감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In this paper, the problems and betterment plan in operating district units plan are studied by selecting typal case locations based on the types of district units plan of the city of Busan. According to the types, 4 locations of 'type of maintaining preexisting district' and 3 of 'type of managing preexisting district' are selected as case locations, based on a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In systematical aspects of the case locations, indiscreet upward adjustment of the locations, insignificant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and patternization were recognized as problems. And setting accurate standards for target and range of alteration in line with usage plan of the locations would be necessarily urgent. So through the analysing process of the problems arisen from the case locations I would suggests necessary solu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istrict units plan. And In planning aspects, the similarity between the basic directions and the object, batch-application of the density plan, inadequacy of the usage plan, allocations and patterns of structures, and color planning were recognized to have problematic points. Consequently distinguished specific operating-guidelines would be necessary to achieve the basic directions and the object of district units plan. Furthermore, the building-to-land ratio and floor space index are needed to be exactly calculated through providing accurate and logical standards for appropriate development density of struct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진(2006) 지구단위계획의 용적률 인센티브제도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 건설교통부(2005) 제1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3. 건설교통부(2005) 제2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4. 건설교통부, 한국토지공사(2007) 2006 도시계획현황
  5. 김수현(2004)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용도지역 변경의 문제점,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6. 박재범(2005) 민간개발 관리수간으로서의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7. 박정자(2001) 지구단위계획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8. 서주완(2005) 지구특성을 고려한 지구단위계획의 주제유형별 수립 방향 마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수립메뉴얼
  10. 한국도시설계학회(2005)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11. 高見澤實(2003) 일본 지구계획제도의 개요와 변천, 한.일 지구단위계획 국제세미나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