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imed-Transfer System: its Application and Effects on Bus Transit System

버스 동시환승체계의 적용과 효과분석

  • 신용은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 남혜경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 Received : 2008.06.23
  • Accepted : 2008.07.11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In low-density areas where travel pattern is widely dispersed and travel demand is relatively low, transit operators find it very difficult to provide a reasonable level of service at a reasonable cost. Timed-transfer system or network, if designed properly, can provide a reasonable level of service for passengers using transit systems serving low-density areas. The paper intends to apply a timed-transfer system for bus lines serving Yangsan City area and to assess the effects 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The concept of a timed-transfer network/system is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bus systems in Yangsan City area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aspects of network type and the related problems. The bus timed-transfer network for the area is then developed by adjusting the existing routes and network with the consideration of travel time, route alignments, headways and transfer centers. One must note that developing a timed-transfer network presumes that network and schedule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time-transfer system on the passengers and operators are found substantially so as to justify its introduction to the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considerable use for planners to design the transit systems in low density areas, where in general travel activities are widely dispersed and travel demands are low, so that provision of good quality of transit services are difficult.

중소도시의 경우 저밀도 지역의 만연과 산재한 통행 기종점으로 인해 양질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시환승체계는 이 같은 지역에 적절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운행계획이 수립된 노선망으로, 도입 시 서비스 제고와 운행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시환승체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접근방법론 제시와 도입 시 발생 가능한 기대효과의 파악과 분석을 목적으로, 동시환승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구축의 방법론적 접근법을 제시하였고, 전형적인 저밀도 지역인 양산시의 기존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양산시의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을 통과하는 11개 시내버스 노선을 양산터미널을 환승지점으로 동시환승체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노선 간 환승시간이 크게 감소하였고, 기존 차량대수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빈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등 서비스 질이 개선 되었다. 또한 기존 노선망의 서비스 권역을 그대로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노선단축 등으로 인한 총 운행거리와 요구차량대수가 감소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사한 문제에 처한 여타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계획가와 정책가에게는 노선 구축을 위한 지침과 정책결정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영(1995) 동시환승(Timed-Transfer) 버스시스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3권 제4호, pp. 105-115
  2. 남혜경(2006) 버스 동시환승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3. 양산시(2007) 양산시 시내(마을)버스 노선합리화방안, 영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 Abkowita, M.J. (1987) Operational feasibility of timed transfer in transit system,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13, pp. 168-177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87)113:2(168)
  5. Bakker, J.C. et al. (1988) A multi-centered timed transfer system for capital metro, Austin, Texa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02, Washington DC, USA
  6. Bruun, C.E. (2007) Better public transit systems: Analyzing investments and performance, Planner's Press,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APA), Chicago, USA
  7. Chowdhury, M.S et al. (2000) Intermodal transit system coordination, 79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8. Clever (1997) Integrated timed transfer: A european perspective, 76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9. Dessouky, A. et al. (1999) Bus Dispatching at Timed Transfer Transit Station using Bus Tracking Technology, Dept.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U. of Southern California, LA, USA
  10. Okunieff, P.E. (1997) AVL systems for Bus Transit, TCRP synthesis 2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11. Vukan R. Vuchic et al. (1981) Timed-Transfer System,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US DOT, DOT-I-83-28, Washington DC,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