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문관측 기반의 청계천 홍수예측모델 구축

Development of Flood Prediction Model using Hydrologic Observations in Cheonggye Stream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 토목환경공학과) ;
  • 정창삼 (인덕대학 건설환경설계과) ;
  • 윤성심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투고 : 2008.06.13
  • 심사 : 2008.09.17
  • 발행 : 2008.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하천으로 복원된 청계천유역에 대해 수문관측기반의 홍수예측모델을 제시하고, 실측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적용대상지역인 청계천유역은 본류하천 좌우측에 연결되어 있는 수문열림과 저수호안의 침수발생이 인명대피의 기준이 되는 유역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06년 이후 본류하천의 5개 지점에서 수위 및 유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강우에 따른 수문열림 및 저수호안 침수시간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10분 최대강우강도에 따른 수문열림과 저수호안 침수시간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고, 2007년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형의 결정계수는 0.57-0.75 범위로 나타났으며, 이는 적용대상지역의 복잡성과 개발모형의 단순성을 고려할 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개발모형을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an observation-based urban flood prediction model an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on a restored Cheonggye stream. The study area, which has its own unique hydrologic and flooding conditions that can be characterized the standard of flood occurrence by watergate opening and walk lane inundation, measured stream discharges at the 5 sites and watergate opening and walk lane inundation through the main stream since 2006. This study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intensity and watergate opening and walk lane inundation time by using the observations of 2006 and verified their performance on 2007 flood ev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are ranged on 0.57-0.75, which would be acceptable if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the area and the proposed model simplicity. It also suggested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se properties is required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model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2005) 주요지천 홍수예보프로그램 개선.
  2.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2004) 국내외 도시홍수예경보 기법의 조사 및 평가(FFC03-07), 기술보고서.
  3.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05) 돌발강우대비 청계천 방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4.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06) 청계천 하천 모니터링 연구용역연구보고서.
  5.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2007) 청계천 하천 모니터링 연구용역연구보고서.
  6. 정창삼(2007) 방재적 관점에서의 청계천 유출 거동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호, pp. 543-551.
  7. FEMA, and HCFCD (2002) Off the Charts T.S. Allison Public Report, Harris County Flood Control District, Texas.
  8. NWS (1997) Automated Local Flood Warning Systems Handbook Weather Service Hydrology Handbook No.2,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of Hydrolgy:Silver Spring, Mary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