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flat sediments during low tide as a environmental factor, and burrowing behaviour, fatness, total hemocyte counts(THCs) and differential hemocyte counts(DHCs) of hard clam Meretrix lusoria as biological activity indices for the management of hard clam farms located in Taean(Chungnam province) and Gimje(Jeonbuk province) tidal flat in Korea. Temperature ranges of the sediment at 1cm depth during spring(March to May) and summer(June to August) in Taean(where the exposure time was about $5.5{\sim}6$ hours during low tide) were $8.7{\sim}26.8^{\circ}C\;and\;27.6{\sim}32.8^{\circ}C$, respectively.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temperatures of the surface sediment where submerged with remained seawater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uncovered with seawater. Burrowing depths of normally digged hard clams were 0.9{\sim}3.6cm from March to October, 2002. In the field experiment performed at Taean farming ground covered with seawater, burrowing times of the clams under natural water temperatures were $41.6{\pm}10minutes$ in February and $5.4{\pm}1.3minutes$ in August, respectively, and these were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s. Fatness of hard clams began to decrease from May(at Taean tidal flat) and June(at Gimje tidal flat), showed the lowest level in August and increased again from September. Total hemocytes counts in the hemolymph of the hard clams were decreased to the lowest level in July($24.7{\times}10^4cells/mL$, at Taean tidal flat) and August($28.2{\times}10^4cells/mL$, at Gimje tidal flat),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gain from September(at Taean tidal flat, P<0.01) and October(at Gimje tidal flat, P<0.001), respectively. We observed three types of hemocytes from the hemolymph of hard clams according to whether hemocytes retain the granules or not and the size of the granules. As a results, we could found that periodical monitoring of the sediment temperatures, clam burrowing behaviour and hemocyte parameters were very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hard clam farming.
서해안 갯벌에 서식하는 양식대상 패류 중에서 백합 Meretrix lusoria은 가장 고급 품종으로서 각광받고 있지만,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하절기부터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폐사로 인하여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에 서식하는 백합의 환경요인 중에서는 수온 및 염분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갯벌의 지온일 수 있다는 가정하에 갯벌의 지온을 시기별, 깊이별로 조사하였다. 백합의 내부방어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지표로서는 혈림프 중에 존재하는 혈구의 밀도와 혈구의 종류별 조성비율을 조사하였다. 표층으로부터 1cm 깊이의 지온은 봄철에는 $8.7{\sim}26.8^{\circ}C$, 여름철에는 $27.6{\sim}32.8^{\circ}C$ 였으며, 유의차는 없었지만 공기 중에 노출된 곳보다는 해수가 고인 지점의 지온이 더 높았다. 백합의 성장기인 봄(3월)부터 가을(10월)까지 정상적인 백합의 잠입깊이는 평균 $0.9{\sim}3.6cm$ 였으며 겨울철(2월)에는 평균 8.0cm 까지 잠입하였고, 서식지의 기온, 수온, 지온 등이 잠입깊이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백합의 잠입소요시간은 2월에 약 40분, 8월에 약 5분으로서 시기별 차이가 컸고 서식지의 온도환경의 영향이 매우 컸다. 백합의 비만도는 습중량과 건조중량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조사해 본 결과, 여름기간 중에는 김제산 백합의 비만도가 더 높았으며, 태안산 백합은 5월 이후에 김제산 백합에서는 6월 이후에 비만도 감소가 나타났다. 백합 혈중의 총혈구수는 태안산의 경우 6월에서 7월로 가며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김제산은 태안산과 변화패턴은 비슷하였으나 최저치를 나타내는 시기는 태안산보다 1개월 늦은 8월이었고,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백합의 혈구는 대과립구, 소과립구, 무과립구로 나뉘며, 봄에서 가을로 가며 소과립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무과립구의 비율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백합 양식장의 폐사로 인한 피해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학적 관리를 위하여는, 연안의 수온 뿐 아니라 갯벌의 지온이 환경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하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었다. 백합의 행동학적 특성으로서 노출직후 다시 잠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생물학적 지표로서 비만도, 총혈구수 및 혈구의 종류별 조성 등을 개체 수준에서 각 지표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밝힐 수 있다면 자연산 및 양식 백합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