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point of conclusion time of Electronic Commerce

전자거래의 성립에 관한 연구

  • 박종렬 (광주여자대학교 경찰법학과)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It is settled in the economic arena that electronic commerce which used the Internet is new recently by explosive increase of the rapid development and Internet use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oblem that is legitimate at a point called the business of the form that the electronic transactions to set together if I drift are new of the times is the situation caused a lot. However, the use custom of construction and electronic transactions of the maintenance that is the legislation thief who can do rules of electronic transactions is the fact that it was not able to be still established It may not be just applied to the Internet electronic transactions that an exchange promise between our characters does against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person in the property even if I say that the conclusion of the purchase agreement is concluded in Internet electronic transactions by EDI method. That can have the approval of contract in the main legal problem of such an Internet electronic transactions contract. We civil law sorts it by a contract between the talks characters and a contract between the remote area people and all the adopted children are equal and must decide the formation of contract time in a principle of Empfangstheorie because it may be said that the rule of the civil law that it be heated and decides to be able to be available is irrational.

현대사회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새로운 경제활동의 영역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자거래는 새로운 형태의 거래라는 점에서 법률적인 문제도 많이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전자거래를 규율할 수 있는 법제도적인 정비의 구축과 전자거래의 이용관행이 아직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인터넷 전자거래에 있어서 구매계약의 체결은 전자문서교환(EDI)방식에 의하여 체결된다 할지라도 그 성질상 당사자간의 교환약정이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하는 인터넷 전자거래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인터넷 전자거래계약의 주된 법적 문제 중 하나가 계약의 성립을 들 수 있다. 전자거래기본법에서 송신시기와 수신시기를 논한다는 것은 이미 전자거래가 격지자간의 거래로 볼 필요성이 있음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격지자간의 계약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민법은 대화자간의 계약과 격지자간의 계약으로 구분하여 계약의 성립시기를 달리 정하고 있는 민법의 규정은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 모두 동일하게 도달주의의 원칙으로 정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