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upon Family Healthy

가족자원봉사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i-Won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 Housing Environment, Chung-Ang University) ;
  • Park, Jeong-Yun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Chung-Ang University) ;
  • Kim, Yang-Hee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amilial voluntary service of the Healthy Family Center and the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ts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family healthy through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Study subjects were both volunteers who belonged to family volunteer corps of 12 Healthy Family Center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a 54.1% of subjects is taking part in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while a 45.9% of them is not. Their positive intention of future participation is a 77.4%.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from 6 months to two year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or twice a month, and the length of activities per participation is for 3 hours. They have taken part in the service with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their motive of participation is by and large selfish.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upon family healthy, the family healthy of participant group is higher in all the four sub-variables of family healthy than that of other groups. The group of whic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a week is better in family communication than the group of whic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or twice per month. The group of which motive of participation is altruistic is higher in sharing a value system among families than the group of which motive of participation is selfish.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정(2001). 자원봉사활동과 청소년 인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대희, 오윤자(2004).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 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5-127
  3. 권순미(2004).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이 도덕성 발달에 미치 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04(3), 197-213
  4. 김경호(2004).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유형과 가족의 건강성, 무력감, 자긍심, 및 행복감의 관계. 국민대학교 박사학 위 청구논문
  5. 김명희(2003). 자연보호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이 가족건강 성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옥, 장덕희(2003). 가족 건강성 증진을 위한 가족자원봉 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3), 111-135
  7. 김혜경(2004). 자원봉사 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특성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41-156
  8. 박경혜(2003).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이 위기 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선민(2006). 건강가족 형성을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구성 기초연구.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선이(2006).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사용에 따른 자아 상태와 가족건강성.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정숙(2005). 가족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 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정희(2006). 가족복지적 측면에서 본 차문화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효순(2004). 정신질환자 가족의 가족 건강성 조사연구. 서 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손영익(2005).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송경희(2004).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 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심한용(2003).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 는 영향 : 서울시여자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 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양순미(2003). 가족 건강성, 자아존중감, 부부문제가 농촌부 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3), 31-49
  18. 양순미, 유영주, 정현숙(2001). 한국 농촌의 건강가족 집단 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31-48
  19. 양주애(2005).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어은주, 유영주(1997).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21. 유영주(1999). 건전가정과 건강가족의 개념 설정에 대한 논 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93-102
  22. 유영주, 양순미(2000). 부모와 자녀세대가 인지한 농촌가족 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의 특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67-91
  23. 이경은(2003).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52, 63-87
  24. 이명희(2004). 가족자원봉사활동과 일반자원봉사활동에 참 여한 청소년에 관한비교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민아(2006).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은주(2005). 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재옥(2002). 노인자원봉사활동 여부에 따른 삶의 질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종원(2003). 청소년 자원봉사 동아리를 통한 자원봉사 활 동의 효과성 분석.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채학(2001).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인성발달에 관한 연 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지, 15(2), 37-62
  31. 장덕희(2001).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6(2), 94-113
  32. 정규열(1998). 서울시 중학교 학생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 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 드북. 서울: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34. 지영숙, 이태진(2001). 도시가정의 가족여가 유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35. 지영숙, 이태진, 최보아(2002). 가족여가 유형이 가족체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89-196
  36. 통계청(2006), 2006 사회지표
  37. 한영숙(2006).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 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홍성례, 유영주(2000). 남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논집, 4(1), 1-17
  39. Brigman, K. M. L., Schons, J., & N. Stinnett. (1986). "Strength of families in a society under stress; A study of strong families in Iraq", Family Perspective
  40. Coveli, Lucille. (1985), Dominant Class Culture and Legitimation : Female Volunteer Directors, Journal of Voluntary Research, 14(4), 24-35 https://doi.org/10.1177/089976408501400404
  41. Fisher, L. R., & Schaffer, K, B.(1993). Older Volunteers : A Guide to Research and Practice. Sage
  42. Gillespie, D. F., & King. A. E.(1997). "Demographic Understanding of Volunteerism". Journal of Voluntary Action Research, 12, 798-816
  43. Hill. R. B.(1972). The strengths of black families. NY: Emerson Hill
  44. Ibrahim, N. A. & Brannenm D. E.(1997). Implic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to Volunteer in Hospital.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22(4), 1-18
  45. Moore, C., & Joseph, A.(1996). "The Effects of Volunteering on the Young Volunteer",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46. Otto, H. A.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https://doi.org/10.2307/348232
  47. Stinnett, N. (1979). Strengtheni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13
  48. Zill, N., Christine, N., & L, Laura.(1985). "Adolescent Times Use, Risky Behavior and Outcomes : An Analysis of National Data" aspe.os.dhhs.gov/ cyp/xstimuse.html.S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