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ultural Convergence Phenomenon in Contemporary Fashion

현대 패션에서 보여지는 컨버전스 문화 현상에 관한 연구

  • Kim, Mi-Hyun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8.05.30

Abstract

The definition of convergence employed in this study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where different patterns, genres or fields coexist along with the existence of a knowledge based society. The focus of this study was center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paradigm in associa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Mark Weiser and other futurolog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features of this paradigm in conjunc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in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paradigm on fashion. After identifying the features of knowledge-based society paradigm in associa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paradigm in order to ascertain and analyze fashion trends. Conclusions based on analyzed data indicate tha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paradigm change resulting from convergence phenomena contributes to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fashion from other fields and its fusion with other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고현진(2006). 컨버전스 트렌드에 의한 패션 디자인. 복식 56(7)
  2. 김기호(1995). 파퓰러음악사전. 서울: 아름출판사
  3. 김자민(2005).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장르간 하이브리드에 관 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노무라 종합연구소(2003). 유비쿼터스 네크워크와 신사회 시스템. 서울: 전자신문사
  5. 박은경(2001). 20세기 테크놀로지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이민정(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문화 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이봉덕(2002). 21C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숙명여자대 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이순인(2002). 디지털 환경의 변화. 서울: DESIGNnet
  9. 임창영(2004). 디지털시대 산업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정보화와 기술발전에 따른 산업디 자인의 변화와 전망.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 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조동성(2003). 디자인 혁명, 디자인 경영. 서울: 디자인네트
  11. 주진형, 황지연(2006). 컨버전스와 문화산업 트랜드. 정보통신정책. 18(6)
  12. 하지수(2001). 20세기 기능주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 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한윤숙(2000). 21세기 디지털 유목민 문화에 나타난 현대 패 션디자인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홍경민(2003). 디지털 문화변화에 따른 제품 디자인 경향 연 구-Digital Convergence Design-.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5. 황상민, 한규석(1999). 사이버 공간의 심리. 서울: 박영사
  16. Eamonn, K., & Leyden, P.(2005). What's next 2015. Chicago: Perseus Books
  17. Horax, C.(2002). 마셜 맥루언과 가상성. 김영주, 이원태(공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01년 원저 발간)
  18. John A. Walker(1995). 디자인의 역사. 정진국(역) 서울: 까치. (1989년 원저 발간)
  19. Kostas Terzidis(2003). Hybrid Form, Design Issues, Vol.19, Winter
  20. Lev Manovich(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Cambridge: MIT Press
  21. McLuhan, M., & Power, B. R.(1998). The global village. London: Oxford University.
  22. Negroponte, N.(2000).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백욱인 (역). 서울: 커뮤니커이션. (1995년 원저 발간)
  23. Popcorn, F., & Hanft, A.(2003). 미래생활사전. 인트랜드 번역원(역) 서울: 을유문화사. (2001년 원저 발간)
  24. Quinn, B.(2003). Techno fashion. New York: Berg
  25. Shedroff, N.(2004). 경험 디자인. 이병주(역) 서울: 안그라픽 스. (2001년 원저 발간)
  26. Toffler, A.(1989). Future Shock. New York: Bant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