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ypology of Mid-life Adults' Everyday life : An Analysis of Time Diary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 Cha, Seung-Eun (Institute of Population and Aging Research, Hanyang University)
  • 차승은 (한양대학교 인구및고령사회연구소)
  • Published : 2008.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describe the everyday life of middle-aged adults in terms of their time-use activities. From the original '2004 Time dairy' Data,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OS), 17,684 respondents aged between 35-59 were selected. In order to categorize their activity patterns, work/labour, domestic labour, and spare leisure tim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ion classification system. As a result, four dominant types were found: namely work-leisure, work-oriented, family-oriented, and leisure-oriented activities.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age, socioeconomic status, job characteristic, and family structure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n time-use. Compared with work-leisure, young middle aged women holding a part-time job with less income tended to be involved in a family-centered time use. Dual earners with lower SES status were likely to have work-oriented time schedules. Older men with relatively lower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leisure-oriented activities rather than work-leisure activities. Multitasking behavior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explaining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ime-use. Work-oriente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ime pressure as well as fatigue. Group differences in these measures, however, was not as large as expec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택(1998). 근대적 일상생활의 구조와 변화. 한국사회학, 32(3), 503-529.
  2. 김왕배(2007). 노동중독: 직무태도와 조직특성의 관점에서 본 사회심리적 접근. 한국사회학, 41(2), 90-117.
  3. 김정석(2005). 한국중년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한국 인구학, 28(1), 173-201.
  4. 김진욱(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 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여름), 149-177.
  5. 문숙재(1996). 생활시간연구. 서울: 신정.
  6. 문숙재, 윤소영, 윤지영(2005). 가족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만족도 분석: 가정지향적 여가활동을 중심으 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31-39.
  7. 박수미, 선보영, 김진욱(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8. 박영도, 은기수, 오만석, 김복수, 박수미, 이윤석, 김정석 (2005).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활: 일상생활의 쟁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9.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한국인구학 28(1), 277-311.
  10. 신기영, 옥선화(2000). 중년기 취업 여성의 가족 역할과 직업 역할의 보상/ 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 지, 38(8), 29-41.
  11. 오만석, 은기수, 김복수, 이윤석, 김정석(2005)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활: 생애주기별 접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유소이, 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 인 분석: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13.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문지선, 송지원(1996). 도시 남성근 로자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97-111.
  14.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 부부 의 생활시간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3), 11-26.
  15. 이기영, 조희금, 김외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 주희(2006). 농가 가족원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 리학회지, 24(5), 205-222.
  16. 이승미, 이기영(1998). 부모와 자녀의 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23-136.
  17. 이형실(2000).기혼 여성과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배우자 지 원 및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47-55.
  18. 채 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 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19. 통계청.(2004). 2004 생활시간조사보고서. 제1권 생활시간량 편. 통계청.
  20. 한경혜(2001) 성공적 중년기 발달요인 탐색: 정신건강 일.가족 라이프코스의 한미간 비교연구. 미간행 보고서.
  21. 한경혜, 노영주(2000). 중년기 여성의 40대 전환기 변화 경 험과 대응에 관한 질적연구, 가족과 문화 12(1), 67-91.
  22. 한경혜, 송지은(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 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3(2), 51-73.
  23. 한경혜, 이정화, Ryff, Marks, 옥선화(2002). 중년기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24. 한경혜, 이정화, Ryff, Marks, 옥선화, 차승은(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행동: 성별, 연령 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1), 213-230.
  25. 한신갑, 박근영(2007).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 여가활동을 통해 본 2005년 한국사회의 문화지형. 한국사회학, 41(2), 211-239.
  26.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LXXV (September),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27. Bianchi, S. J. Robinson, P., & Milkie, M.(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8.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 B.(2005). Complex connections: A multidiciplinary look at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In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 B(eds.)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Pp.1-17).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9. Bittman, M., & Wajcman, J.(2000). The rush hour: The character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ocial Forces, 79, 165-189. https://doi.org/10.2307/2675568
  30. Hessing, M.(1994). More than clockwork: Women's time management in their combined workloads. Sociological Perspectives, 37, 611-633 https://doi.org/10.2307/1389281
  31. Hochschild.(1996). Time bind, New York: Henry Holt.
  32. Mattingly, M. J., & Sayer, L. C.(2006). Under pressur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time and feeling rushe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1), 205-22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6.00242.x
  33. Milkie, M., Mattingly, M. J., Nomaguchi, K. M., Bianchi, S. M., & Robinson, J. P.(2004). Time squeeze: Parental statu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4), 739-761. https://doi.org/10.1111/j.0022-2445.2004.00050.x
  34. Rogers, S. J., & Amato, P. R.(2000). Have changes ingender relations affected marital quality? Social Forces, 79, 731-753. https://doi.org/10.2307/2675515
  35. Sahlins, M.(1972). Stone Age Economics, Newyork: Aldine de Gruyter.
  36. Scheiman, S.(1999). Age and ang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 273-289. https://doi.org/10.2307/2676352
  37. Schneider, B., & Waite, L.(2005). Timely and timelessness: Work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B(eds.)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Pp.67-79).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