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Quadtree Grid

사면구조 격자 기법에 의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적용

  • 김종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토목공학과) ;
  • 윤광석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조용식 (한양대학교 토목공학)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All measures to cope with flooding rely on flood predictions to some extent. To investigate these predictions such as maximum water level or inundation area, a numerical model has been developed.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model are the two-dimensional Saint-Venant equations. The governing equations are discretized explicitly by using the leap-frog scheme and upwind scheme based on quadtree grids. The predicted numerical results have been verified by comparing to those of a Thacker problem. As a result of verifications, the present model is not only nearly four times as efficient as uniform grids but also in close agreement with the previous models. Next,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several flood events in the Uiryeong basin. A general tendency is found that as a frequency is increasing, overall water levels including peak water level are increasing. At only a 500 year frequency, maximum water level is higher than 18.5 m. Therefore, it can be predictable that inundation will be generated in a 500 year frequency.

홍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대책의 성공여부는 홍수 예측의 정확도에 달려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범람 발생유무, 범람 면적 또는 최대수위를 예측 및 모의가 가능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Saint-Venant 방정식을지 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적합화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적용하여, leap-frog 기법과 upwind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유한차분하였다. 개발된 수치 모형은 Thacker 문제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경상남도 의령 지역에 사면구조 격자를 사용한 본 모형을 적용하였다. 검증 결과 본 모형의 격자는 균일 격자보다 거의 4배 정도 효율적이었으며, 정확도 측면에서도 이전 모델의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수문 빈도를 변화시키면서 홍수 범람 양상을 수치 모의하였다. 빈도가 증가하면, 첨두 수위를 비롯한 수위 수문곡선의 크기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500년 빈도에서는 제방을 월류하여, 제내지에 범람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호, 김형준, 이승오, 조용식 (2007)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7권, 제2호, pp. 45-52
  2. 배용훈, 고덕구, 조용식 (2005)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5호, pp. 355-364 https://doi.org/10.3741/JKWRA.2005.38.5.355
  3. 소방방재청 (2007) 2007년도 주요 통계 및 자료
  4. 이주헌, 최종진, 이희철, 이은태 (2003) 고해상도 수치고도모형을 활용한 홍수범람도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6B호, pp. 471-478
  5. 인태훈, 박구용, 조용식 (2003) Quadtree 격자를 이용한 근해지진해일의 처오름높이 계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693-701
  6. 유재홍, 김형준, 조용식 (2005)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내외수 연계 모형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5권, 제4호, pp. 1-8
  7. 원성연, 윤용남 (1993) 도시유역의 홍수량 산정을 위한 도시유출 모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5호, pp. 135-146
  8. 조용식, 윤태훈 (1996) 경사 지형에서의 이동경계조건.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pp. 73-81
  9. 최규현, 한건연 (2005)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 2. 적용 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2B호, pp. 143-149
  10. 최규현, 한건연, 김상호, 이창희 (2006) 레이더 정량강우와 연계한 홍수유출 및 범람해석 시스템 확립 III. 2차원 홍수범람 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pp. 347-36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4.347
  11. Park, K.-Y., (1999) Quadtree grid numerical model of nearshore wave-current interaction, Ph. D. dissertation, Oxford University
  12. Thacker, W.C., (1981) Some exact solutions to the nonlinear shallow water wave equations. J. Fluid mechanics, Vol. 107, pp. 499-508 https://doi.org/10.1017/S0022112081001882
  13. Yiu, K.F.C., Greaves, D.M., Cruz, S., Saalehi, A. and Borthwick, A.G.L., (1996) Quadtree grid generation : information handling, boundary fittingand cfd applications. Computers and fluids. Vol. 25, pp. 759-769 https://doi.org/10.1016/S0045-7930(96)00029-1